코소보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소보 전쟁은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코소보에서 일어난 무력 충돌로, 세르비아의 코소보 자치권 박탈과 알바니아계 주민 탄압에 대한 코소보 해방군(KLA)의 저항으로 시작되었다. 1980년대부터 이어진 민족 갈등은 요시프 브로즈 티토 사망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경제 위기와 민족주의 대두로 심화되었으며, 1999년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개입하여 유고슬라비아를 공습했다. 전쟁 결과, 코소보는 유고슬라비아의 통제에서 벗어나 사실상 독립하게 되었고,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등은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코소보의 최종 지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라 결정될 예정이었으나, 2008년 코소보의 독립 선언으로 인해 현재까지 미확정 상태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소보가 참전한 전쟁 - 발칸 전쟁
발칸 전쟁은 1912년부터 1913년까지 발칸 반도에서 일어난 일련의 전쟁으로,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발칸반도의 새로운 질서를 형성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조가 되었다. - 1999년 코소보 -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
유엔 코소보 임시행정부(UNMIK)는 1999년 코소보 전쟁 종전 후 설립되어 코소보를 유엔의 잠정 통치 하에 행정을 담당했으며, 2008년 코소보 독립 선언 이후 그 권한이 코소보 정부와 유럽 연합 법치 임무단으로 이관되었다.
코소보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 코소보 전쟁 |
전체 | 세르비아-알바니아 충돌 및 유고슬라비아 전쟁 |
기간 | 1998년 2월 28일 – 1999년 6월 11일 |
장소 | 코소보, 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 |
코소보, 유고슬라비아 이외 지역 | 알바니아 (알바니아와 OSCE의 주장) |
결과 | 쿠마노보 조약 유고슬라비아 군대가 코소보에서 철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244호의 체결 코소보 해방군이 UÇPMB과 연계하면서 프레셰보 계곡 반란이 발발 2000년 불도저 혁명 발발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코소보 해방군 (UÇK) |
지휘관 | |
지휘관 1 |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아뎀 야샤리 †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하머즈 야샤리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실레이만 셀리미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아김 체쿠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라무시 하라디나이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하심 타치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파트미르 리마이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아김 라마다니 †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베킴 베리샤 † [[파일:Flag of the Kosovo Liberation Army.svg|22px|코소보 해방군]] 자히르 파야지티 † 웨슬리 클라크 하비에르 솔라나 타히르 제마이 부야르 부코시 아흐메드 크라스니치 |
지휘관 2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모미르 불라토비치 드라골류브 오이다니치 스베토자르 마랴노비치 네보이샤 파브코비치 블라스티미르 조르제비치 블라디미르 라자레비치 보지다르 델리치 젤코 라주나토비치 고란 라도사블리예비치 스레텐 루키치 |
병력 | |
병력 1 | [[파일:UCK KLA.svg|22px|코소보 해방군]] 9,000 - 20,000명 3,000명 전투기 80기 ( 이글 아이 작전 ) 전투기 1,031기 ( 연합군 작전 ) 군함 및 잠수함 30척 이상 |
병력 2 | 140,000명 ( 연합군 작전 ) 40,000명 (코소보에서) 경찰 20,000명 (OPG, SAJ, JSO) SAM 100기 포 3,250문 (대지, 대공) 전투기 240기 장갑차 및 전차 2,032대 러시아 자원군 약 100명 |
사상자 | |
사상자 1 | [[파일:UCK KLA.svg|22px|코소보 해방군]] 1,700 - 4,000명 사망 무인 항공기 47기 격추 비전투 요원 2명 사망 AH-64 아파치 2기 격추 F-117A 1기 고장 F-117A 1기 파괴 F-16C 1기 고장 A-10A's 2기 고장 A-10A's 2기 파괴 AV-8B 해리어 II 1기 격추 포로 3명 |
사상자 2 | KLA에 의한 사상자: 모름 NATO에 의한 사상자: 군인 및 경찰 1,031명 사망 |
기타 사상자 | 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으로 유고슬라비아 (코소보 밖) 시민 500명 사망. 다른 문헌에서는 1,200에서 5,700명 사상자를 집계. ICTY에서는 알바니아인 600명 사망. 다른 출처에서는 코소보 알바니아인 5,000명에서 8,000명 사망. NATO군에 의해 코소보 알바니아인 200명 사망 중화인민공화국 국적 언론인 3명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폭격으로 인해 사망 |
관련 항목 | |
관련 전투 | 전조 리코샤니-치레즈 프레카즈 전시 사건 안보리 결의 제1160호 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 국경 기습 라푸슈니크 감옥수용소 벨라체바츠 광산 리우베니츠 집단무덤 로아 제1차 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 국경 충돌 클레츠카 학살 오라호바츠 유니크 라도니츠호 학살 글로아네 안보리 결의 제1199호 고르녜오브리녜 학살 안보리 결의 제1203호 안보리 결의 제1207호 제2차 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 국경 충돌 제3차 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 국경 충돌 판다바르 학살 포두예보 수바레카 라차크 학살 연합군 작전 1999년 F-117A 격추 사건 노비사드 폭격 벨라츠르크바 학살 크루샤 학살 수바레카 학살 이즈비차 학살 드레니차 학살 제4차 알바니아-유고슬라비아 국경 충돌 코사레 파스트리크 그르델리차 열차 폭격 자코바 알바니아 난민 폭격 메여 RTS 방송국 폭격 메여 학살 유고슬라비아 국방부 건물 폭격 루자네 버스 폭격 바르바린 다리 폭격 부슈트리 학살 파스트리크 코사레 니시 집속탄 폭격 중국 대사관 폭격 코리사 폭격 추스카 학살 전후 여파 프리슈티나 공항 사건 프리즈렌 스타로그라츠코 학살 그닐라네 2000년 코소보 소요사태 양상 전쟁 범죄 집단무덤 바타이니차 집단무덤 루드니차 집단무덤 우글리아레 집단무덤 말리세보 집단무덤 파괴된 문화유산 알바니아계 세르브계 |
2. 배경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성립 이후에도 민족 감정은 계속 존재하였다. 1968년 일어난 학생운동에 대응하여 티토는 자치권과 알바니아어 공인 등 유화 정책을 제시하였고, 1974년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가 인정되었다.
티토 사후 유고슬라비아 전체는 민족주의의 난립으로 혼란에 빠졌다. 1989년 대세르비아주의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에 취임하였고, 1990년대 초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성지인 코소보의 자치권을 박탈하고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를 성립시켜 분리주의를 억압하자,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알바니아계 코소보인들에게서 큰 반발이 일어났다. 이후 유고슬라비아 전쟁 속에 여러 민족국가들이 분리 독립하면서 코소보 역시 자치권을 넘어 분리 독립하려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2. 1. 역사적 배경 (1878년~1980년)
본래 코소보 지역은 세르비아의 영토였으나 오스만 제국 통치 이후 알바니아계 무슬림들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이 되었다. 근현대의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 간의 갈등은 1878년~1879년 세르비아 공국과 몬테네그로 공국에 의하여 무슬림 알바니아계 인구가 강제 이주된 사건에서 드러난다.[83][84] 당시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 공국에 편입된 지역에서 추방되었으며,[85][86] 추방된 알바니아인의 수는 5만 명에서 13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1830년부터 1876년까지도 세르비아 공국에서 최대 15만 명의 알바니아인들이 강제 이주당했다.[88][89][90] 이 갈등은 19세기 말 더욱 격화되었고, 1901년에는 1897년 그리스-튀르크 전쟁 이후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지 않은 무기를 사용하여 세르비아인 학살이 발생했다.[91]코소보의 세르비아계와 알바니아계 공동체 간의 긴장은 20세기 내내 지속되었고, 특히 제1차 발칸 전쟁(1912년-1913년), 제1차 세계 대전(1914년-1918년), 제2차 세계 대전(1939년-1945년) 기간 동안 심각한 폭력으로 이어지기도 했다.[92] 1912년 알바니아 봉기는 오스만 제국으로 하여금 알바니아 준주권 국가의 수립에 동의하게 만들었지만, 오스만 군대는 곧 불가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군대에 의해 쫓겨났다.[93] 그 후 발칸 전쟁에서 최소 5만 명의 알바니아인들이 코소보 지역에서 학살당했다. [94][95]
제1차 세계 대전 후, 코소보는 알바니아와의 통합을 요구하는 알바니아 공동체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가 주도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92] 1918년부터 1939년까지 유고슬라비아는 수십만 명의 알바니아인들을 추방하고 이 지역에 주로 세르비아인 이주민을 정착시키는 것을 장려했으며, 알바니아어 학교는 금지되었다.[96] 1941년 추축국 유고슬라비아 침공 이후, 코소보의 대부분은 이탈리아가 지배하는 알바니아에 할당되었고, 나머지는 독일과 불가리아가 통제했다. 점령 기간 동안 알바니아 협력자들은 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로인 이주민들을 박해했고,[97] 수천 명이 사망하고 7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가 코소보에서 추방되거나 강제 수용소로 보내졌다.[98]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면서 코소보는 유고슬라비아의 통치하에 돌아왔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 하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정부는 유고슬라비아 전역의 여러 민족 집단 사이에서 민족주의를 체계적으로 억압했다.[99] 티토는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공화국인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권력을 희석하기 위해 북부의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와 남부의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에 자치 정부를 설립했다.[100] 1963년까지 이 지역은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 지역으로 불렸고, 1968년에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로 개명되었다.[101]
1948년부터 1963년까지 코소보에서는 알렉산다르 란코비치와 그의 비밀경찰(UDBA)에 의해 알바니아 민족주의자들에 대한 잔혹한 진압이 있었다.[102] 1966년 란코비치가 축출된 후, 티토와 그의 공산주의자 동맹은 공화국에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고 코소보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개선하려고 시도했다.[103] 1968년 11월, 코소보와 마케도니아에서 별도의 공화국을 요구하는 알바니아인들의 요구에 따라 유고슬라비아군에 의해 진압된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103]
프리스티나 대학교는 1970년 독립 기관으로 설립되어 오랫동안 베오그라드 대학교의 하부 조직으로 운영되었던 시대를 끝냈다. 유고슬라비아에서 알바니아어 교육 자료가 부족하여 코소보의 알바니아어 교육이 어려워짐에 따라 교재를 공급하기 위해 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과 합의가 이루어졌다.
1969년 세르비아 정교회는 성직자들에게 코소보 세르비아인의 지속적인 문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도록 명령하여 베오그라드 정부에 그곳 세르비아인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도록 압력을 가했다.[104]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 개정으로 코소보의 정치적 지위는 더욱 향상되었다.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와 함께 코소보는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로 선포되었고, 완전한 공화국의 많은 권한을 얻었다.[105] 1970년대 내내 학생 시위가 계속되어 아뎀 데마치를 포함한 알바니아 민족 해방 운동의 많은 구성원들이 투옥되었다.[103][106] 1968년에 시작된 정치적, 행정적 변화는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이 코소보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문제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하고 코소보와 알바니아 사이의 유대감이 강화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1980년까지 경제적 빈곤은 더 큰 불안의 촉매제가 되었다.[107]
2. 2. 티토 사후 (1980년~1989년)
세르비아인과 알바니아인 사이에는 20세기 내내 민족 갈등이 지속되었으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전간기에 특히 빈번하게 대규모 폭력 사태로 이어졌다.[102] 제2차 세계 대전 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사회주의 정부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전역에서 민족주의 활동을 억제하고, 유고슬라비아 구성국 간의 헤게모니(패권) 경쟁을 방지하고자 했다. 특히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국가였기 때문에, 세르비아의 영향력을 제한하기 위해 북부 보이보디나와 남부 코소보 메토히야를 보이보디나 자치주,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로 분리했다.[99][100] 코소보의 국경은 유고슬라비아 내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아,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코소보 외부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본토에 남았고, 코소보 북부에는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 1921년 당시 코소보 지역 전체는 알바니아인이 다수였다.1945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의해 코소보의 공식적인 자치가 규정되었지만, 큰 자치권은 부여되지 않았다. 티토의 비밀경찰(UDBA)은 민족주의자들을 탄압했고,[102] 1956년에는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국가 전복 및 스파이 혐의로 기소되었다. 소수 지하 조직이 알바니아와의 통합을 요구했지만, 정치적 영향력은 미미했다. 그러나 아뎀 데마치(Adem Demaci)가 조직한 알바니아인 통일 혁명 운동은 훗날 코소보 해방군(Ushtria Çlirimtare e Kosovës; UÇKsq)의 정치적 중핵이 되었다. 데마치는 1964년 투옥되었다.
1969년 유고슬라비아는 경제 재건 프로그램으로 빈부 격차가 확대되면서 정치·경제적 위기를 맞았지만, 티토는 알바니아인 대표 설치와 알바니아어 지위 향상을 요구하는 학생들의 요구에 응했다.[102] 1970년 베오그라드 대학교 산하 프리스티나 대학교가 독립 교육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코소보의 알바니아어 교육은 교재 부족 문제를 알바니아인들의 자체 준비로 해결했다.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 개정으로 코소보의 정치적 지위가 향상되어, 보이보디나와 함께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가 되어 유고슬라비아 구성국과 동등한 지위를 획득했다.[105] 정치 권력은 공산주의자 동맹이 독점했지만, 코소보 공산주의자 동맹이 중핵을 담당했다.
1980년 5월 4일 티토 사망 이후 경제 위기와 민족주의 등장으로 정치적 불안정이 심화되었다.[107] 1981년 3월, 알바니아인 학생들의 매점 앞 시위가 코소보 전역으로 확대되어 대규모 시위로 이어졌다. 시위대는 코소보를 유고슬라비아 7번째 구성 공화국으로 요구했지만, 세르비아와 마케도니아는 대알바니아주의의 시작으로 간주하여 반대했다.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군경을 투입해 진압했지만, 코소보 자치권 폐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유고슬라비아 신문은 11명 사망, 4,200명 투옥을 발표했지만, 다른 이들은 사망자가 1,000명을 초과한다고 주장했다.
코소보 공산주의자 동맹 내부 숙청으로 당수 등 주요 인물이 추방되었고, 세르비아인과 알바니아인 민족주의자 모두 단속 대상이 되었다. 비밀경찰이 대규모 배치되어 민족주의 활동을 탄압했고, 마크 톰슨(Mark Thompson)에 따르면 코소보 주민 580,000명이 체포, 심문, 구금 또는 징계를 받았다.
1969년 세르비아 정교회는 주교에게 코소보 세르비아인 문제 자료 수집을 명령하고, 베오그라드 정부에 세르비아인 보호를 압박했다.[104] 1982년 2월, 세르비아 본국 성직자들은 "세르비아 정교회의 침묵"과 "코소보 성당 파괴 행위"에 대한 항의 부재를 요구했다. 코소보 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로인 박해, 알바니아인 마피아 마약 거래 이야기가 공포와 불안정을 초래했다.
코소보 경제 상황 악화는 세르비아인들의 일자리 기회를 감소시켰다.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 모두 자국민 채용을 우대했지만, 구직자 수가 인구에 비해 적었다. 코소보는 유고슬라비아 최빈곤 지역으로, 1979년 1인당 GDP는 795달러였던 반면, 유고슬라비아 평균은 2,635달러, 슬로베니아는 5,315달러였다.

코소보에서 알바니아인 민족주의 확대로 분리주의와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다.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과 성당 파괴, 성직자 폭행, 수녀 강간 등 사건이 증가했고, 주교 파블레도 1989년 알바니아인 청년에게 공격받았다.
세르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SANU)는 1985년부터 1986년까지 코소보를 떠난 세르비아인 조사 결과, 알바니아인들의 추방 압력이 원인이라고 결론지었다.[364]
1985년 6월 초안을 바탕으로 한 1986년 9월 유출된 「SANU 각서」는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문서는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인들의 어려움, 티토의 세르비아 약화 계획, 세르비아 본국 외 세르비아인들의 어려움을 지적했다.
각서는 코소보 세르비아인들이 "물리적, 정치적, 법적, 문화적 제노사이드"를 당하고 있으며, "1981년 이후 전면전" 중이라고 주장했다. 1986년 코소보 세르비아인 지위는 오스만 제국 해방 이후 최악이며, 나치 독일 점령하 제2차 세계 대전이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의 제1차 세계 대전 때보다 심각하다고 했다. 지난 20년간 20만 명의 세르비아인이 코소보를 떠났고, 개혁 없이는 곧 세르비아인이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하며, "코소보 메토히야 치안과 평등 보장", "코소보 이탈 세르비아인 귀환 환경 조성"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 "세르비아는 수동적이어서는 안 된다"고 결론지었다.
SANU 각서에 대한 반응은 엇갈렸다. 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 우월주의 주장, 세르비아 이민자들의 경제적 이유를 근거로 비난했고, 슬로베니아인과 크로아티아인은 세르비아 확장주의로 간주했다.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여 환영과 비난이 공존했다.[365]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도 각서를 비난했다.

1988년 코소보 자치주 행정위원회 수반이 체포되었다. 1989년 3월, 밀로셰비치는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에서 「반관료혁명」(en)을 선포하고 자치권을 박탈, 외출 제한,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는 코소보에서 24명의 사망자를 낸 폭력 시위 때문이었다.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헌법 개정이 코소보 세르비아인들을 알바니아인 박해로부터 보호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3. 코소보 전쟁의 전개
1990년대 초부터 대알바니아주의를 추구하는 분리주의 민병단체인 코소보 해방군(UÇK 또는 KLA)이 코소보 지역에서 경찰에 대한 사보타주 등 무력 활동을 시작했다.[129] 세르비아는 KLA를 테러 단체로 규정했지만, 알바니아는 박해에 대한 저항 단체로 보았다. 알바니아 내전으로 알바니아군의 무기가 코소보로 유입되면서 KLA의 세력이 크게 확장되었다.
1998년, 아뎀 야샤리가 이끄는 코소보 해방군은 드레니차 지역에 근거지를 두고 유고슬라비아 경찰과 지속적인 무력 충돌을 벌였다. 3월에는 경찰과의 충돌로 수십 명이 사망했고, 세르비아 경찰이 프레카즈 마을에서 야샤리 일당을 소탕하면서 아동을 포함한 알바니아인 60명이 학살당했다.[139] 이러한 알바니아계에 대한 조직적 인종 학살은 미국이 KLA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바꾸고 서방 세계가 세르비아를 비난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8년 국제앰네스티 보고서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해고로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의 실업률은 70%를 넘었다.[126] 베오그라드가 부과한 경제적 아파르트헤이트는 빈곤한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를 더욱 빈곤하게 만들었다.[126]
이브라힘 루고바는 소극적 저항 정책을 추구했지만, KLA의 등장으로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의 불만이 커졌다. 1996년 KLA는 세르비아 보안 요원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129] 초기 KLA는 유고슬라비아 당국의 탄압을 막는 것이 목표였지만, 점차 대알바니아 건설을 목표로 했다.[130][131]
KLA는 코소보 알바니아 디아스포라로부터 재정적, 물질적 지원을 받았다.[133][58] 1997년 알바니아 내전으로 알바니아군의 무기고가 약탈당하면서 많은 무기가 코소보로 흘러들어 KLA의 무장이 강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KLA를 테러 단체로 규정했지만,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은 KLA를 자유 투사로 보았다.
1998년 2월, 미국 발칸 특사 로버트 겔바드는 KLA를 테러 집단이라고 말했다.[134][135] 그러나 며칠 후 세르비아 경찰은 KLA 공격에 대응하여 리코샤네와 치레즈에서 알바니아계 전투원과 민간인, 세르비아 경찰을 포함해 많은 사상자를 냈다.[137]
1998년 3월, 세르비아 경찰은 도니예 프레카제에서 아뎀 야샤리와 그의 추종자들을 공격했다. 이 과정에서 알바니아인 60명이 학살되었는데, 이 중에는 여성과 어린이도 포함되어 있었다.[139] 이 사건은 서방 국가들의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4월 초, 세르비아는 코소보 문제에 대한 외세 간섭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했고, 세르비아 유권자들은 외세 간섭을 거부했다.[142] 한편 KLA는 Deçan과 그 주변 지역 대부분을 장악했다. 5월 말, 유고슬라비아군과 세르비아 경찰은 KLA를 국경에서 제거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했다.
6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은 러시아의 보리스 옐친과 공격 작전 중단 및 알바니아인과의 대화 준비에 합의했다. 밀로셰비치와 이브라힘 루고바의 회의는 5월에 베오그라드에서 열렸다.
7월, KLA는 Peja와 Gjakova를 포위하고 Malisheva에 임시 수도를 설치했다. 그러나 KLA가 라호베츠를 점령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인근 마을인 레팀리예와 옵테루샤도 함락되었고, 조치슈테 정교회 수도원이 약탈당하고 불타 버렸다.[145]
9월, 유고슬라비아군은 Prizren 주변에서 공세를 시작했지만 KLA 거점을 점령하지 못했다. 9월 말, 유고슬라비아는 코소보 북부와 중부, 드레니차 계곡에서 KLA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9월 28일, 고르니예 오브리녜에서 훼손된 시신이 발견되면서 국제 사회의 개입을 불러왔다.[146]
12월, 코소보 해방군이 전략적 요충지를 점령하면서 전투가 재개되었다. 코소보 해방군은 페야/페치의 카페를 습격했고(판다 바 학살), 후셰 코소바/코소보 폴레 시장을 암살했다.
코소보 해방군의 공격과 세르비아 측의 반격은 1999년 겨울 내내 계속되었다. 1999년 1월 15일, 라차크 학살이 발생했고, 이는 서방 국가들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로부터 학살 사건으로 비난받았다. 미국의 외교관은 기자회견을 열고 세르비아의 전쟁범죄 행위를 비난했다.[375] 이는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NATO는 무력 투입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연락 조정 그룹은 코소보를 세르비아의 틀 안에서 1990년 이전의 자치 수준으로 되돌리고 민주주의와 국제기구의 감독을 도입하는 협상안을 제시했다. 1999년 2월, 랑부이예 성에서 평화 협상이 진행되었다.
1999년 3월 24일,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는 세르비아 공화국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다.[378] 이는 신유고슬라비아가 코소보 해방군(KLA) 소탕 작전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고, 미국과 유럽연합의 철수 및 학살 방지 촉구를 무시한 데 따른 조치였다.
NATO는 공습으로 며칠 안에 세르비아 군경을 코소보에서 몰아내고 평화유지군을 주둔시킬 계획이었으나, 세르비아군의 저항은 예상보다 거셌다. 3월 27일에는 미군의 F-117 나이트호크가 격추되고, 31일에는 미군 3명이 포로로 잡히는 등 NATO는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했고, 결국 추가 병력을 배치해야 했다.[137][138] 4월 13일과 14일에는 알바니아 북부 지역에서도 교전이 벌어져 전쟁 확산 우려가 커졌다.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NATO의 공습을 침략 전쟁이라고 비난했다.[144]
1998년 3월, 세르비아 경찰은 도니예 프레카제(Donje Prekaze) 마을에서 KLA 지도자 아뎀 야샤리(Adem Jashari)와 그의 추종자들을 추격했다. 3월 5일, 야샤리 자택에서 발생한 대규모 총격전(대규모 총격전)으로 알바니아인 60명이 학살되었는데, 그중 18명은 여성이었고 10명은 16세 미만이었다.[139] 이 사건은 서방 국가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으며, 매들린 올브라이트(Madeleine Albright) 미국 국무장관은 "이 위기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의 내부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140]
3월 24일, 유고슬라비아군은 글로자네(Glodjane) 마을을 포위하고 반군 자택을 공격했다.[141] 유고슬라비아군은 우월한 화력에도 불구하고 KLA 부대를 제압하는 데 실패했으며, 글로자네는 이후 전쟁에서 가장 강력한 저항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4월 초, 세르비아는 코소보 문제에 대한 외세 간섭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했고, 세르비아 유권자들은 외세 간섭을 단호하게 거부했다.[142]
1998년 5월 31일, 유고슬라비아군과 세르비아 내무부 경찰은 KLA를 국경에서 제거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했다. NATO는 6월 중순 유고슬라비아 국경 상공에서 무력 시위인 디터민드 팔콘 작전(Operation Determined Falcon)을 펼치며 대응했다.[143]
6월부터 7월 중순까지 KLA는 Peja와 Gjakova를 포위하고 Malisheva 마을(Rahovec 북쪽)에 임시 수도를 설치하는 등 계속 진격했다. 그러나 7월 중순 KLA가 라호베츠(Rahovec)를 점령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고, 8월 초까지 세르비아와 유고슬라비아의 공세가 이어졌다.[145]
9월 중순, KLA는 Podujevo 주변 코소보 북부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9월 말, 유고슬라비아는 코소보 북부와 중부, 드레니차 계곡에서 KLA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9월 28일, 고르니예 오브리녜(Gornje Obrinje) 마을 밖에서 KDOM에 의해 한 가족의 훼손된 시신이 발견되면서 국제 사회는 행동에 나섰다.[146]
세르비아군의 사기는 심각한 문제였다. 한 전차 사령관은 "코소보에 있는 동안 적군 병사를 본 적이 없었고, 제 부대는 적을 향해 발포한 적이 한 번도 없었습니다. 대당 25억달러가 드는 전차는 알바니아 어린이들을 학살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저는 부끄럽습니다."라고 보고했다.[147]
1999년 2월 6일, 람부예에서 코소보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3월 18일 알바니아, 미국, 영국 대표단만 람부예 협정에 서명하고 세르비아와 러시아는 서명을 거부했다.[366] 협정안은 코소보를 유고슬라비아 내 자치주로 하고 NATO가 통치하며, 3만 명의 NATO 병력이 코소보 치안을 유지하고, NATO 병력의 유고슬라비아 영토 내 무제한 통행권과 NATO 및 그 인원에 대한 유고슬라비아 법 적용 제외를 요구했다.[366] 세르비아는 이 협정안을 "기만"이라고 비난하며, 특히 군사 부분은 협상 최종 단계에 이르러서야 의제로 올라와 충분한 협상 시간을 주지 않았고, 협상 상대는 "분리주의자 테러리스트의 대표자"였다고 주장했다.[378]
협상 결렬 이후,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의 국제 감시단은 3월 22일 철수했고,[377] 3월 23일 세르비아 의회는 코소보 자치를 인정하고 람부예 협정의 비군사 부분을 수용하기로 결정했지만, 군사 부분, 특히 "NATO에 의한 코소보 점령 통치" 조항에는 반대했다.[378]
3. 1. 자치권 박탈과 저항 (1990년~1998년)
1990년을 전후하여 코소보 지역에서는 여러 반대 시위가 일어났고, 1990년대 초에 조직된 대알바니아주의 분리독립 민병단체 코소보 해방군(UÇK 또는 KLA)은 1995년부터 코소보 지역에서 경찰에 대한 사보타주 등 무력 활동을 시작하였다.[134][135] 세르비아는 KLA를 테러 단체로 규정했지만, 알바니아는 박해에 대한 저항 단체로 보았다.[366] 1997년 알바니아 내전으로 알바니아군의 무기가 코소보로 유입되면서 KLA의 세력이 크게 확장되었다.[58]1998년, 아뎀 야샤리의 지도 하에 드레니차(Drenica) 지역에 근거지를 둔 코소보 해방군은 유고슬라비아 경찰과 계속 충돌했다. 3월에는 경찰과의 충돌로 수십 명이 사망했고, 세르비아 경찰의 프레카즈(Prekaz) 마을 소탕 과정에서 아동을 포함한 알바니아인 60명이 학살당했다.[372][373] 이러한 알바니아계에 대한 조직적 인종 학살로 인해 미국은 KLA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선회했고, 서방 세계는 세르비아를 비난하게 되었다.
1998년 국제앰네스티 보고서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해고로 인해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의 실업률은 70%를 넘었다.[126] 베오그라드가 부과한 경제적 아파르트헤이트는 빈곤한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를 더욱 빈곤하게 만들었다.[126]
이브라힘 루고바는 소극적 저항 정책을 추구하여 1990년대 초 코소보의 평화를 유지했지만, 이는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불만을 증가시켰다.[366] 1990년대 중반, 루고바는 코소보에 유엔 평화유지군을 요청했다.
지속적인 탄압은 많은 알바니아인들에게 무장 저항만이 상황을 바꿀 수 있다는 확신을 심어주었다.[128] 1996년 4월, KLA는 코소보 여러 지역에서 세르비아 보안 요원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129] 초기 KLA의 목표는 유고슬라비아 당국의 탄압을 막는 것이었지만, 점차 대알바니아 건설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대되었다.[130][131]
KLA는 코소보 알바니아 디아스포라로부터 재정적, 물질적 지원을 받았다.[133][58]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KLA를 테러 단체로 간주했지만,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은 KLA를 자유 투사로 보았다.
1998년 2월, 미국 발칸 특사 로버트 겔바르드는 KLA를 테러 집단이라고 언급했지만,[134][135] 이후 "테러 행위"는 인정하면서도 "테러 조직으로 분류된 적은 없다"고 밝혔다.[136]
코소보 민주연맹(DLK)은 이브라힘 루고바가 이끄는 코소보의 주요 정치 세력이었다. DLK는 무력 분쟁에 반대하고 KLA를 인정하지 않았지만, KLA에 대한 지지가 커지면서 DLK의 입장도 변화했다. 코소보 공화국군(FARK)이 설립되어 DLK도 군사적 요소를 가지게 되었지만, FARK는 KLA와 갈등을 빚었다.
1998년 9월, FARK의 지도자 아흐메트 크라스니키가 티라나에서 총에 맞아 사망했다.[235] FARK는 전쟁에서 큰 역할을 하지 못했고, 일부 장교들은 KLA에 편입되었다.[236]
1999년 5월, 루고바는 미국 클린턴 대통령과의 회의에서 KLA를 좌익 이데올로기의 선구자라고 비난했다.[237] 루고바는 랑부이예 협상을 지지했지만 영향력은 없었다.[242] 알바니아인들의 인종 청소가 이어지자 DLK를 포함한 알바니아인들은 NATO 공습을 지지하게 되었다. 루고바는 밀로셰비치와의 회담에서 평화적 해결을 요청했지만, KLA와 지지자들로부터 비난을 받았다.[243][244]
전후 코소보에서 DLK와 KLA의 불화는 계속되었고, DLK 정치 활동가들이 암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248]
코소보에서는 알바니아 민족주의가 확대되면서 알바니아인과 세르비아인 간의 민족적 긴장이 고조되었다.[363] 세르비아 정교회 시설 파괴, 성직자 폭행, 수녀 강간 사건 등이 증가했다.[363]
세르비아 과학예술 아카데미(SANU)는 코소보를 떠난 세르비아인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이 알바니아인들의 추방 압력 때문이라고 결론지었다.[364] SANU 각서는 코소보 세르비아인들이 제노사이드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64]
1988년, 코소보 자치주 행정위원회 수반이 체포되었다. 1989년 3월, 밀로셰비치는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박탈하고 계엄령을 선포했다.[365] 1990년 7월 5일, 코소보를 포함한 세르비아 전역에서 실시된 주민투표를 통해 세르비아의 체제 변경이 가결되었다.[365] 이로 인해 8만 명의 알바니아인이 코소보에서 일자리를 잃었고, 세르비아 교육 커리큘럼이 강요되었다.[366]
코소보의 정치 기구는 해체되었고, 알바니아어 신문 발행과 TV, 라디오 방송이 중단되었다.[365] 프리슈티나 대학교에서는 알바니아인 교수와 학생들이 대규모로 숙청되었다.[365] 빈곤과 실업이 심각해졌고,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해외로 유출되었다.
밀로셰비치에 의한 코소보 공산주의자 동맹 해체로 이브라힘 루고바가 이끄는 코소보 민주 동맹이 최대 정치 세력으로 부상했다. 루고바는 평화적인 수단으로 코소보 자치권 박탈에 저항했다.[366] 1991년 9월, 코소보의 "그림자" 의회는 코소보 독립 주민 투표를 실시했고, 압도적인 찬성으로 독립을 선언했다.[365] 1992년 5월, 루고바는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지만, 세르비아 정부는 이를 불법으로 간주했다.
루고바는 비폭력주의를 고수했지만,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코소보 문제는 국제 사회에서 무시되었다.[366] 1997년, 밀로셰비치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세르비아의 억압이 계속되면서 일부 알바니아인들은 무력 투쟁을 선택하게 되었다.[366] 1996년 4월 22일, 코소보 해방군은 세르비아 치안 부대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코소보 해방군은 코소보 해외 알바니아인 디아스포라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았고,[367] 1997년 알바니아 폭동으로 알바니아군의 무기를 획득했다.
미국을 비롯한 일부 국가는 코소보 해방군에 대한 자금과 무기 유입을 막는 데 소극적이었다. 데이턴 협정 이후에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제재는 유지되었고, 미국의 빌 클린턴 대통령은 유고슬라비아가 코소보 문제에 대해 루고바와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코소보 위기는 1997년 12월 본에서 열린 평화 이행 평의회 회의에서 고조되었다. 서방 외교관들은 코소보 문제 해결을 요구했고, 유고슬라비아 대표단은 항의하며 회의장을 떠났다.[132]
1998년 2월, 코소보 해방군의 공격이 강화되었고, 세르비아 경찰은 이에 대응하여 알바니아 민간인들을 학살했다.[372] 이는 서방 국가들의 비난을 불러일으켰고, 미국 국무장관 매들린 올브라이트는 "이 위기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내정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3월 24일, 세르비아군은 글로잔(Gllogjan) 마을을 포위하고 코소보 해방군을 공격했지만, 완전히 제압하지는 못했다.[374]
세르비아는 협상 노력을 계속했지만, 루고바는 세르비아와의 회담을 거부하고 코소보 독립을 추구했다. 세르비아에서는 극우 민족주의자 보이슬라브 셰셸이 부총리가 되면서 서방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4월 초, 세르비아는 코소보 문제에 대한 외국의 간섭에 대해 국민투표를 실시했고, 세르비아 유권자들은 이를 거부했다.
코소보 해방군은 데차니(Deçan) 주변 지역을 장악하고 유고슬라비아군과 충돌했다. 5월 31일, 유고슬라비아군과 세르비아 경찰은 코소보 해방군과의 전선을 돌파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했지만, 민간인 살해로 인해 서방의 공습을 초래했다.
밀로셰비치 대통령은 러시아의 옐친 대통령과 합의하여 국제 대표단의 코소보 활동을 허용했다.[366] 코소보 외교 관찰단(Kosovo Diplomatic Observer Mission)이 7월 초부터 활동을 시작했지만, 미국은 세르비아의 휴전 요구를 비판했다.
6월부터 7월까지 코소보 해방군은 우세를 유지했지만, 7월 중순 라호베츠(Orahovac) 점령을 계기로 상황이 역전되었다. 세르비아와 유고슬라비아의 공격이 시작되었고, 코소보 해방군은 집단 학살과 시체 소각 등의 만행을 저질렀다.
9월 중순, 코소보 해방군은 코소보 북부에서 처음으로 전투를 벌였다. 9월 말, 코소보 해방군을 일소하기 위한 작전이 수행되었고, 서방 국가들은 세르비아에 대한 위협을 강화했다. 9월 28일, 코소보 외교 관찰단은 고르니예 오브리네(Gornje Obrinje) 마을 외곽에서 절단된 시체를 발견했고, 이는 참전의 이유가 되었다.
약 25만 명의 알바니아인이 집을 잃었고, 3만 명은 숲 속에 숨어 있었다. 미국의 크리스토퍼 힐 대사는 알바니아 측과 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 당국 간의 셔틀 외교를 전개했다.
NATO는 공습 준비를 완료했고, 홀브룩은 밀로셰비치 대통령에게 합의를 요구하며 베오그라드를 파괴하겠다고 위협했다. 1998년 10월 12일, 코소보 조사 합의가 체결되었고, 10월 25일 휴전이 성립되었다.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의 코소보 조사단이 설치되었지만, 활동 부족으로 비판을 받았다.
3. 2. 전쟁의 발발 (1998년)
1990년대 초, 대알바니아주의를 추구하는 분리주의 민병단체인 코소보 해방군(UÇK 또는 KLA)은 코소보 지역에서 경찰에 대한 사보타주 등 무력 활동을 시작했다.[129] 세르비아는 KLA를 테러 단체로 규정했지만, 알바니아는 박해에 대한 저항 단체로 보았다. 알바니아 내전으로 알바니아군의 무기가 코소보로 유입되면서 KLA의 세력이 크게 확장되었다.1998년, 아뎀 야샤리가 이끄는 코소보 해방군은 드레니차 지역에 근거지를 두고 유고슬라비아 경찰과 지속적인 무력 충돌을 벌였다. 3월에는 경찰과의 충돌로 수십 명이 사망했고, 세르비아 경찰이 프레카즈 마을에서 야샤리 일당을 소탕하면서 아동을 포함한 알바니아인 60명이 학살당했다.[139] 이러한 알바니아계에 대한 조직적 인종 학살은 미국이 KLA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바꾸고 서방 세계가 세르비아를 비난하는 계기가 되었다.
1998년 국제앰네스티 보고서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해고로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의 실업률은 70%를 넘었다.[126] 베오그라드가 부과한 경제적 아파르트헤이트는 빈곤한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를 더욱 빈곤하게 만들었다.[126]
이브라힘 루고바는 소극적 저항 정책을 추구했지만, KLA의 등장으로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의 불만이 커졌다. 1996년 KLA는 세르비아 보안 요원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129] 초기 KLA는 유고슬라비아 당국의 탄압을 막는 것이 목표였지만, 점차 대알바니아 건설을 목표로 했다.[130][131]
KLA는 코소보 알바니아 디아스포라로부터 재정적, 물질적 지원을 받았다.[133][58] 1997년 알바니아 내전으로 알바니아군의 무기고가 약탈당하면서 많은 무기가 코소보로 흘러들어 KLA의 무장이 강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KLA를 테러 단체로 규정했지만,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은 KLA를 자유 투사로 보았다.
1998년 2월, 미국 발칸 특사 로버트 겔바드는 KLA를 테러 집단이라고 말했다.[134][135] 그러나 며칠 후 세르비아 경찰은 KLA 공격에 대응하여 리코샤네와 치레즈에서 알바니아계 전투원과 민간인, 세르비아 경찰을 포함해 많은 사상자를 냈다.[137]
1998년 3월, 세르비아 경찰은 도니예 프레카제에서 아뎀 야샤리와 그의 추종자들을 공격했다. 이 과정에서 알바니아인 60명이 학살되었는데, 이 중에는 여성과 어린이도 포함되어 있었다.[139] 이 사건은 서방 국가들의 비난을 불러일으켰다.
4월 초, 세르비아는 코소보 문제에 대한 외세 간섭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했고, 세르비아 유권자들은 외세 간섭을 거부했다.[142] 한편 KLA는 Deçan과 그 주변 지역 대부분을 장악했다. 5월 말, 유고슬라비아군과 세르비아 경찰은 KLA를 국경에서 제거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했다.
6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유고슬라비아 대통령은 러시아의 보리스 옐친과 공격 작전 중단 및 알바니아인과의 대화 준비에 합의했다. 밀로셰비치와 이브라힘 루고바의 회의는 5월에 베오그라드에서 열렸다.
7월, KLA는 Peja와 Gjakova를 포위하고 Malisheva에 임시 수도를 설치했다. 그러나 KLA가 라호베츠를 점령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인근 마을인 레팀리예와 옵테루샤도 함락되었고, 조치슈테 정교회 수도원이 약탈당하고 불타 버렸다.[145]
9월, 유고슬라비아군은 Prizren 주변에서 공세를 시작했지만 KLA 거점을 점령하지 못했다. 9월 말, 유고슬라비아는 코소보 북부와 중부, 드레니차 계곡에서 KLA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9월 28일, 고르니예 오브리녜에서 훼손된 시신이 발견되면서 국제 사회의 개입을 불러왔다.[146]
12월, 코소보 해방군이 전략적 요충지를 점령하면서 전투가 재개되었다. 코소보 해방군은 페야/페치의 카페를 습격했고(판다 바 학살), 후셰 코소바/코소보 폴레 시장을 암살했다.
코소보 해방군의 공격과 세르비아 측의 반격은 1999년 겨울 내내 계속되었다. 1999년 1월 15일, 이 발생했고, 이는 서방 국가들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로부터 학살 사건으로 비난받았다. 미국의 외교관은 기자회견을 열고 세르비아의 전쟁범죄 행위를 비난했다.[375] 이는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NATO는 무력 투입만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연락 조정 그룹은 코소보를 세르비아의 틀 안에서 1990년 이전의 자치 수준으로 되돌리고 민주주의와 국제기구의 감독을 도입하는 협상안을 제시했다. 1999년 2월, 랑부이예 성에서 평화 협상이 진행되었다.
3. 3. NATO의 개입 (1999년)
1999년 3월 24일,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는 세르비아 공화국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다.[378] 이는 신유고슬라비아가 코소보 해방군(KLA) 소탕 작전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고, 미국과 유럽연합의 철수 및 학살 방지 촉구를 무시한 데 따른 조치였다.NATO는 공습으로 며칠 안에 세르비아 군경을 코소보에서 몰아내고 평화유지군을 주둔시킬 계획이었으나, 세르비아군의 저항은 예상보다 거셌다. 3월 27일에는 미군의 F-117 나이트호크가 격추되고, 31일에는 미군 3명이 포로로 잡히는 등 NATO는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했고, 결국 추가 병력을 배치해야 했다.[137][138] 4월 13일과 14일에는 알바니아 북부 지역에서도 교전이 벌어져 전쟁 확산 우려가 커졌다.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NATO의 공습을 침략 전쟁이라고 비난했다.[144]
1998년 3월, 세르비아 경찰은 도니예 프레카제(Donje Prekaze) 마을에서 KLA 지도자 아뎀 야샤리(Adem Jashari)와 그의 추종자들을 추격했다. 3월 5일, 야샤리 자택에서 발생한 대규모 총격전(대규모 총격전)으로 알바니아인 60명이 학살되었는데, 그중 18명은 여성이었고 10명은 16세 미만이었다.[139] 이 사건은 서방 국가들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았으며, 매들린 올브라이트(Madeleine Albright) 미국 국무장관은 "이 위기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의 내부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140]
3월 24일, 유고슬라비아군은 글로자네(Glodjane) 마을을 포위하고 반군 자택을 공격했다.[141] 유고슬라비아군은 우월한 화력에도 불구하고 KLA 부대를 제압하는 데 실패했으며, 글로자네는 이후 전쟁에서 가장 강력한 저항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4월 초, 세르비아는 코소보 문제에 대한 외세 간섭에 대한 국민투표를 실시했고, 세르비아 유권자들은 외세 간섭을 단호하게 거부했다.[142]
1998년 5월 31일, 유고슬라비아군과 세르비아 내무부 경찰은 KLA를 국경에서 제거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했다. NATO는 6월 중순 유고슬라비아 국경 상공에서 무력 시위인 디터민드 팔콘 작전(Operation Determined Falcon)을 펼치며 대응했다.[143]
6월부터 7월 중순까지 KLA는 Peja와 Gjakova를 포위하고 Malisheva 마을(Rahovec 북쪽)에 임시 수도를 설치하는 등 계속 진격했다. 그러나 7월 중순 KLA가 라호베츠(Rahovec)를 점령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고, 8월 초까지 세르비아와 유고슬라비아의 공세가 이어졌다.[145]
9월 중순, KLA는 Podujevo 주변 코소보 북부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9월 말, 유고슬라비아는 코소보 북부와 중부, 드레니차 계곡에서 KLA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9월 28일, 고르니예 오브리녜(Gornje Obrinje) 마을 밖에서 KDOM에 의해 한 가족의 훼손된 시신이 발견되면서 국제 사회는 행동에 나섰다.[146]
세르비아군의 사기는 심각한 문제였다. 한 전차 사령관은 "코소보에 있는 동안 적군 병사를 본 적이 없었고, 제 부대는 적을 향해 발포한 적이 한 번도 없었습니다. 대당 25억달러가 드는 전차는 알바니아 어린이들을 학살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저는 부끄럽습니다."라고 보고했다.[147]
1999년 2월 6일, 람부예에서 코소보 평화 협상이 시작되었으나, 3월 18일 알바니아, 미국, 영국 대표단만 람부예 협정에 서명하고 세르비아와 러시아는 서명을 거부했다.[366] 협정안은 코소보를 유고슬라비아 내 자치주로 하고 NATO가 통치하며, 3만 명의 NATO 병력이 코소보 치안을 유지하고, NATO 병력의 유고슬라비아 영토 내 무제한 통행권과 NATO 및 그 인원에 대한 유고슬라비아 법 적용 제외를 요구했다.[366] 세르비아는 이 협정안을 "기만"이라고 비난하며, 특히 군사 부분은 협상 최종 단계에 이르러서야 의제로 올라와 충분한 협상 시간을 주지 않았고, 협상 상대는 "분리주의자 테러리스트의 대표자"였다고 주장했다.[378]
협상 결렬 이후,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의 국제 감시단은 3월 22일 철수했고,[377] 3월 23일 세르비아 의회는 코소보 자치를 인정하고 람부예 협정의 비군사 부분을 수용하기로 결정했지만, 군사 부분, 특히 "NATO에 의한 코소보 점령 통치" 조항에는 반대했다.[378]
4. 종전과 그 이후
국제사회는 러시아를 포함하여 중재를 위한 회담에 나섰다. 1998년 5월 27일, UN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을 인종학살 등 전쟁범죄로 기소하였다.[151] 5월 31일 G8은 평화 계획에 동의하는 서명서를 제출하였고, 6월 3일 세르비아가 평화 계획을 승인, 5일 NATO와 군사회담을 개최하였다. 6월 9일 UN에 상정된 평화 결의안에 세르비아가 서명하면서 6월 25일 전쟁은 공식적으로 종전되었다.
전쟁 중 NATO의 공습으로 인해 주베오그라드 중국 대사관 오폭 사건과 코소보 난민 등 민간인 오폭 사건들이 벌어져 논란이 되었다. 특히, 1999년 5월 7일, 미국 공군 B-2 폭격기가 베오그라드의 중국 대사관을 JDAM 폭탄으로 공격하여 중국인 기자 3명이 사망하고 26명이 부상당했다.[366] 이 사건으로 중국 여론이 들끓었고, NATO와 중국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세르비아에 의한 조직적 인종청소로 민간인을 포함한 많은 사람이 학살되었으며,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등은 국제사법재판소에 전범으로 기소되어 재판 중 사망하였다. 또한 세르비아와 코소보에서 수십만에 달하는 난민이 발생하여 스위스 등 인접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로 피난했다.
4. 1. 코소보의 유엔 임시 통치 (1999년~2008년)
코소보 전쟁 이후, 코소보는 1999년부터 2008년까지 유엔의 임시 통치 하에 있었다. 1998년 6월 9일,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코소보 전쟁으로 인한 미국의 국가 안보 및 미국의 외교 정책에 대한 "이례적이고 특별한 위협" 때문에 "국가 비상 사태"(비상사태)를 선포했다.[151]1998년 9월 2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유엔헌장 제7장에 따라 결의 1199호를 채택했다. 이 결의는 "세르비아 보안군과 유고슬라비아군의 과도하고 무차별적인 무력 사용"으로 23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집을 떠났다는 보고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으며,[152] 코소보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내 모든 당사자들이 적대 행위를 중단하고 휴전을 유지할 것을 요구했다.
1999년 6월, 전쟁이 끝난 후 많은 알바니아 난민들이 이웃 국가들에서 고향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1999년 11월까지,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1,108,913명 중 848,100명이 귀환했다.[286]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군은 120만 명에서 145만 명에 달하는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난민 발생을 초래했다.[75] [76] 1991년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코소보의 약 200만 명 인구 중 194,190명은 세르비아인, 45,745명은 로마인, 20,356명은 몬테네그로인이었다.[287] 휴먼 라이츠 워치(Human Rights Watch)에 따르면, 20만 명의 세르비아인과 수천 명의 로마인이 전쟁 중과 전쟁 후 코소보에서 탈출했다.[288] 유고슬라비아 적십자사도 11월 26일까지 주로 세르비아인 난민 247,391명을 등록했다.[290]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군의 철수와 NATO 주도 코소보군(KFOR)의 코소보 진주 이후 7주 동안 16만 4천 명이 넘는 세르비아인이 코소보를 떠났다.[291]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은 NATO가 코소보 분쟁 해결에 진심이며 일방적인 해결도 마다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했고, 러시아는 현실적으로 세르비아를 보호할 힘이 없다는 것을 이해했다. 미세 조정 후 밀로셰비치 대통령은 핀란드, 러시아의 중재에 의한 조건을 받아들여 NATO 참여에 의한 유엔 주도의 코소보 평화유지군 주둔에 동의했다.
KFOR 파병에 대해서는 지휘 체계와 담당 지역을 둘러싸고 미국과 러시아가 협상을 계속했으나 난항을 겪다가 6월 11일에 일단 결렬되었다.[387] NATO군은 이러한 상황에서 부대 파병을 추진했고, 밀로셰비치가 KFOR의 조건을 받아들인 후인 6월 12일, KFOR는 코소보 진주를 시작했다. KFOR는 영국군 육군 중장 마이크 잭슨(Mike Jackson)의 지휘하에 연합군 신속대응군단(Allied Rapid Reaction Corps)을 사령부로 삼았다. KFOR는 각국의 군으로 구성되었다. 영국군(제4기갑여단과 제5공수여단으로 구성된 여단), 프랑스군, 독일군은 서쪽에서, 이탈리아군과 미국군 등 기타 부대는 남쪽에서 코소보에 진입했다. 이때 미국군의 활동은 초기 진입 부대(Initial Entry Force)로 불렸으며, 제1기갑사단(미국군)이 이끌었다. 미국군 초기 진입 부대는 후일 본드스틸 기지(Camp Bondsteel) 근처 페리자이/우로셰바츠 및 몬타이스 기지(Camp Monteith) 근처 지라니/그니라네 양 지역의 점령을 실현했다. 초기 진입 부대는 4개월에 걸쳐 이곳에 머물며 코소보 남서부 지역의 질서 회복에 힘썼다. 미국군 초기 진입 부대는 현지 알바니아인들로부터 환호를 받고 꽃을 던져 환영을 받았다. 그 사이 KFOR 병사들은 코소보 각지의 도시와 마을에 순차적으로 진입해 갔다. 저항을 받지는 않았지만, 사고로 초기 진입 부대의 미국군 병사 3명이 사망했다.[388]
러시아 측도 NATO 주도의 기정사실화를 피하기 위해 합의 미성립 속에서 KFOR 부대 파병을 단행, 가장 가까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평화안정화부대(SFOR)에 참가하고 있던 러시아 공수군(공수부대)에서 일부를 추출하여 약 200명 규모의 파병 부대를 편성했다.[387] 유고슬라비아 국내를 경유하여 육로로 프리슈티나에 보내[387] 6월 12일에 NATO군에 앞서 프리슈티나 공항 주변에 전개했다.[389][390] 도착한 러시아군은 과격파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던 현지 세르비아인 주민들로부터 환영을 받았다.[389][391]
NATO와 러시아 양측의 사전 합의 없는 파병으로 현지에서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KFOR의 지휘 체계와 파병 지역에 관한 협상은 6월 19일에 마무리되었고, 러시아군은 파병 병력 규모 3,600명(이 중 전투 부대는 5개 대대 2,850명)으로 KFOR에 참가하며, NATO의 지휘 체계 외부의 독자적인 지휘 체계로 행동하는 것이 허용되었다.[394][395]
결과적으로 KFOR는 세르비아인 등 소수 민족 주민을 박해로부터 보호하지 못했고, 다수의 세르비아인 주민 등이 박해를 피해 난민이 되어 코소보를 떠나는 상황을 막을 수 없었다. 코소보의 불안정(2000년)과 코소보의 2004년 폭동에서 추가적인 종족 간 폭력이 발생했다.
4. 2. 코소보 독립 (2008년)
2008년 2월 17일, 코소보는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440] 미국, 영국, 독일 등 일부 유럽 연합 회원국과 터키 등이 즉시 독립을 승인했으며, 일본 정부도 3월 18일에 승인했다. 반면 세르비아는 미국 등 독립을 승인한 국가들에서 대사를 철수시켰다. 러시아,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키프로스, 스페인 등은 독립을 승인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혔다.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244호에 따라 코소보의 최종 지위를 결정하기 위한 국제 협상이 2006년에 시작되었다. 마르티 아티사리 유엔 특사의 주도하에 2006년 2월부터 유엔 주도의 회담이 시작되었으나, 코소보의 지위에 대한 세르비아와 코소보 양측의 주장은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437] 2007년 2월, 아티사리는 양측 지도자들에게 국제적 감독하의 독립을 제안하는 초안을 제시했다. 이 초안은 미국, 영국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유럽 이사국들의 승인을 얻었지만, 러시아는 국가 주권 침해를 우려하여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반대했다.[438] 결국 2008년 2월 코소보의 일방적인 독립 선언으로 초안은 무효화되었다.
2008년 말까지 코소보는 50개 이상의 유엔 회원국으로부터 독립을 승인받았지만, 안보리 결의 상으로는 여전히 지위가 미확정된 채 유엔의 감독하에 있었다.
2019년 6월 12일, 코소보 프리슈티나에서 분쟁 종결 2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매들린 올브라이트 전 미국 국무장관, 웨슬리 클라크 전 NATO 최고 사령관 등이 참석했다. 코소보에서 영웅으로 여겨지는 클린턴은 훈장을 수여받고 화해를 촉구했지만, 세르비아는 불참했다.[441][442]
5. 전쟁 범죄
세르비아 정부는 유고슬라비아 전범 국제형사재판소(ICTY)와의 협력을 "여전히 괴로운 의무이자 유럽 연합(European Union) 가입을 위한 불가피한 대가"로 여기고 있다.[292] ICTY는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군에 의해 코소보에 있던 498개의 모스크 중 225개가 피해를 입거나 파괴되었다고 기록했다.[293] 1998년부터 1999년까지 18개월 동안 코소보에서 진행된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군의 반란 진압 작전으로 총 600개의 모스크 중 3분의 1인 225개가 피해를 입거나, 파손되거나, 파괴되었다.[294][295]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세르비아 준군사 조직과 군부대는 이슬람 건축 유산을 알바니아의 유산으로 간주하여 비세르비아 건축 유산의 파괴를 코소보의 민족 청소에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부분으로 삼았다.[295][296]
세르비아군, 경찰, 준군사 조직에 의한 광범위한 강간 및 성폭력이 갈등 기간 동안 발생했으며, 대부분의 피해자는 코소보 알바니아 여성이었다. 추산으로 약 2만 명에 달한다.[298] 세르비아 군대, 준군사 조직 및 경찰의 강간 범죄는 반인륜 범죄이자 고문에 해당하는 전쟁 범죄였다.[299]
1999년 4월 27일, 메야 학살에서 18세 미만 36명을 포함하여 코소보 알바니아 민간인 377명 이상이 유고슬라비아군과 세르비아 경찰에 의해 메야 마을(자코바 근처)에서 집단 처형당했다. 이는 코소보 해방군(KLA)이 세르비아 경찰 6명을 살해한 후 시작된 작전에 따른 것이었다. 피해자들은 메야 검문소에서 난민 행렬에서 끌려 나왔고, 그들의 가족들은 알바니아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남자들과 소년들은 분리되어 길가에서 처형되었다.[300] 이는 코소보 전쟁에서 가장 큰 학살 중 하나였다.[301]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유엔의 ICTY에 의해 반인륜 범죄와 전쟁 범죄로 기소되었다. 2001년 당시 대통령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Vojislav Koštunica)는 밀로셰비치를 국제 재판소에 세우려는 시도에 "맹렬하게 저항"했지만, 더 많은 잔학 행위가 드러난 후에는 이를 막을 수 없었다.[302]
2014년까지 ICTY는 추방, 기타 비인도적인 행위(강제 이송), 살인, 박해(반인륜 범죄, 5조)뿐만 아니라 살인(전쟁의 법률 또는 관습 위반, 3조)으로 유죄 판결을 받은 유고슬라비아 관리들에 대한 최종 판결을 내렸다.
ICTY는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과 세르비아군이 폭력과 테러를 사용하여 상당수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을 그들의 집에서 쫓아내고 국경을 넘게 하여 국가 당국이 코소보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도록 했으며, 이 작전은 군대와 내무부 경찰(MUP)에 의해 수행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과 세르비아 당국은 코소보 알바니아 민간인들의 대규모 추방, 살인 사건, 성폭행, 모스크의 고의적 파괴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판단했다.[305]
ICTY는 KLA 사령관 하라딘 발라를 살인, 고문 및 잔혹 행위 혐의로 유죄 판결하고 라푸슈니크 수용소에서 13년 징역형을 선고했다. 파트미르 리마이와 이삭 무슬리우는 무죄 판결을 받았다.[306]
2008년, 카를라 델 폰테는 1999년 전쟁 종전 후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이 코소보에서 100~300명의 세르비아인 및 기타 소수 민족의 장기를 알바니아로 밀수했다는 주장을 담은 책을 출판했다.[307]
2005년 3월, 유엔 재판소는 코소보 총리 라무시 하라디나이를 세르비아인에 대한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했고, 3월 8일 그는 사임했다. 코소보 알바니아계인 하라디나이는 코소보 해방군 부대를 지휘했던 전직 사령관으로, 2004년 12월 코소보 의회에서 72대 3의 득표로 총리로 선출되었다. 하라디나이는 KLA 출신 베테랑인 이드리즈 발라지와 라히 브라히마이와 함께 모든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 검찰은 무죄 판결에 대해 항소했고, ICTY는 부분 재심을 명령했다. 2012년 11월 29일, 이 세 사람은 모든 혐의에 대해 두 번째로 무죄 판결을 받았다.[308] 재판 과정에서는 증인 위협 혐의가 난무했는데, 여러 국가의 언론은 하라디나이에 대한 재판 증인으로 예정되었던 최대 19명이 살해되었다고 보도했다(ICTY는 이러한 보도에 대해 반박했다).[309]
휴먼 라이츠 워치(HRW)에 따르면, 1998년부터 1999년까지 800명의 비알바니아인 민간인이 납치되어 살해되었고, 전쟁 후 479명이 실종되었는데 대부분 세르비아인이다.[310] HRW는 1999년 6월 이후 코소보에서 발생한 많은 살인과 납치의 의도는 단순한 복수심보다는 코소보의 세르비아인과 로마인 인구를 추방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보이며, 많은 경우 세르비아인과 로마인들을 집에서 쫓아내기 위한 직접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이루어졌다고 지적한다. 유고슬라비아군 철수 후 약 20만 명의 세르비아인과 로마인이 코소보를 탈출했다.[311]
2014년 4월, 코소보 의회는 1999년~2000년에 KLA 대원들이 저지른 범죄 및 기타 심각한 학대 사건을 심리하기 위해 특별 법원 설립을 고려하여 승인했다.[312] 분쟁 중과 분쟁 후 KLA가 저지른 학대와 전쟁 범죄에 대한 보고서에는 민간인 학살, 수용소, 주택 방화 및 약탈, 중세 교회와 기념물 파괴 등이 포함되어 있다.[313]
카를라 델 폰테는 미국이 정치적 이유로 ICTY가 KLA가 저지른 전쟁 범죄를 조사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녀에 따르면 당시 국무장관이었던 매들린 올브라이트는 코소보의 불안을 피하기 위해 라무시 하라디나이에 대한 조사를 천천히 진행하라고 말했다.[314]
유고슬라비아 정부와 여러 국제 압력 단체(예: 국제앰네스티)는 나토가 갈등 중에 전쟁 범죄를 저질렀다고 주장했는데, 특히 1999년 4월 23일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TV 본부 폭격이 대표적이다. 이 폭격으로 16명이 사망하고 16명이 부상을 입었다. 앰네스티의 시안 존스는 "세르비아 국영 라디오 및 텔레비전 본부 폭격은 민간 시설에 대한 고의적인 공격이며, 따라서 전쟁 범죄에 해당한다"고 말했다.[315] ICTY가 작성한 보고서는 "공격이 실제로 통신망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법적으로 허용된다"고 결론지었으며, "나토의 RTS 건물 표적 지정은 선전 목적의 부수적인(하지만 보완적인) 목표였으며, 세르비아 군사 지휘 및 통제 시스템을 무력화하고 밀로셰비치를 권좌에 유지하는 신경계와 장치를 파괴하는 주요 목표의 부수적인 목표였다"고 밝혔다.[180] 민간인 피해와 관련하여, 보고서는 "유감스럽게도 높지만, 명백하게 불균형적인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고 덧붙였다.[180]
6. 국제 사회의 반응
유고슬라비아는 엄격한 언론법으로 인해 코소보 사태와 관련한 국제사회의 반응을 제대로 보도하지 않았다. 유고슬라비아 국민들은 외교적 합의를 기대했기 때문에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개입을 예상하지 못했다.[200]
코소보 전쟁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은 다음과 같았다.
국가 | 반응 |
---|---|
이집트 | NATO의 개입 지지, 베오그라드 주재 대사 소환. |
리비아 | 무암마르 카다피 리비아 지도자는 NATO의 군사 작전을 비판하고, 유고슬라비아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지지할 것을 촉구.[316] |
캄보디아 | NATO의 작전 반대.[317] |
중국 | NATO의 폭격을 강력 비난, 세르비아인에 대한 침략 행위로 규정. 장쩌민 당시 국가 주석은 공습 중단과 평화 협상 촉구.[318][316] 특히 1999년 5월 7일 NATO의 벨그라드 주재 중국 대사관 폭격 이후 미국과 영국 정부에 대한 폭동과 대규모 시위 발생.[318] |
인도 | NATO의 폭격 비난. 인도 외무부는 모든 군사 행동 중단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내부 문제 해결을 촉구.[317][316] |
인도네시아 | NATO의 작전 반대.[317] |
이스라엘 | 1999년 유고슬라비아 NATO 폭격을 지지하지 않음.[319] 아리엘 샤론은 NATO의 폭격을 "잔혹한 개입주의"라고 비판.[320] |
요르단 | NATO의 개입 지지, 베오그라드 주재 대사 소환. |
일본 | 오부치 게이조 총리는 유고슬라비아의 "비타협적인 태도"를 이유로 폭격 옹호. 고무라 마사히코 외무상은 "인도주의적 재앙을 막기 위해 필요한 조치"로 이해한다고 발언.[317][316] |
말레이시아 | "코소보에서의 대량 학살을 막기 위해 필요했다"며 폭격 지지.[317] |
파키스탄 | 코소보 상황 악화에 우려 표명, 유엔 개입 촉구.[317] |
아랍에미리트 | NATO의 개입 지지. 재정적 지원, 알바니아 북부 쿠케스에 난민 캠프 설립 및 운영, 구호 물품 수송을 위한 활주로 건설 등 지원.[317] |
베트남 | 폭격 작전 반대.[317] |
알바니아 | 폭격 작전 강력 지지. 알바니아와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간 외교 관계 단절.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은 알바니아 정부가 코소보 해방군(KLA) 반군을 은닉하고 무기를 공급했다고 비난.[322] |
터키 | NATO 회원국으로서 폭격 작전 지지 및 참여. 지상 공격에는 주저. 터키 정부는 NATO의 개입이 유고슬라비아의 영토 보전을 훼손하려는 것이 아니라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부의 인종 말살 정책을 되돌리려는 것이라고 강조.[322] |
그리스 | NATO 작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음. 그리스 국민의 96%가 NATO 폭격에 반대.[323][329] |
프랑스 | 대다수 국민이 작전 지지, 극좌와 극우 세력은 반대.[324]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은 폭격을 불법적인 테러 행위이자 유고슬라비아를 식민지화하기 위한 열쇠라고 비난. 유고슬라비아 국민들 또한 폭격에 강력히 반대.[325] |
독일 |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의 정부는 NATO 작전 지지. 그러나, 독일 여론은 장기적인 작전에 대비되어 있지 않았음.[329] |
이탈리아 | 폭격에 대한 반응 엇갈림. 로마노 프로디 전 총리가 연합군이 이탈리아 공군 기지와 군사 시설을 사용하도록 허용. 마시모 달레마의 중도좌파 정부는 이탈리아의 공중 작전 참여 승인.[327]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와 중도우파 야당도 폭격 지지.[328] 세르비아를 겨냥한 NATO 폭격 작전에 대한 국내 반대 여론은 거셌음.[329] |
러시아 | 작전 강력 비난.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NATO의 군사 행동은 노골적인 침략 행위"라고 비판.[316] 또한, NATO가 세르비아에 대한 공습은 불법적인 행위라고 말하며 유엔에서 NATO를 비난.[330] 일부 러시아인들은 KLA와 싸우고 NATO에 반대하기 위해 코소보로 자원 입대.[331] |
영국 | 폭격 작전 강력 지지. 영국 국민 대다수도 마찬가지.[332] |
폴란드 | 폴란드 정부는 NATO의 활동 승인, 작전에는 참여하지 않음.[333] 바르샤바에서는 폭격에 반대하는 시위 발생.[334] |
불가리아 | NATO 항공기가 공격을 위해 영공을 사용하도록 허용.[335] 좌파 야당은 소피아에서 유고슬라비아 NATO 폭격에 대한 거리 시위 조직. 슬라브 동포와 기독교 정교회 세르비아 이웃에 대한 동정심과 유럽 연합과 NATO 가입 희망 사이에서 여론 분열.[336] |
오스트레일리아 | 존 하워드 총리는 "역사는 우리에게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앉아 있으면 나중에 훨씬 더 큰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것을 알려주었다"고 말하며 지지.[338] |
유엔 | 유엔의 승인 없이 실행된 폭격에 대해 엇갈린 반응.[339]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외교가 실패했다는 것은 정말 비극적이지만, 평화 추구를 위해 무력 사용이 정당화될 때가 있다"면서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무력 사용에 의존하기로 결정하는 모든 사안에 관여해야 한다"고 발언.[316][340] |
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승인 없이 감행되었기 때문에 정당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중국과 러시아는 유고슬라비아와의 긴밀한 관계로 인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고, 러시아는 관련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하겠다고 밝혔다. NATO는 '국제적 인도주의적 위기'를 이유로 군사 행동을 정당화하려 했다. 또한, NATO 헌장에는 회원국의 방위를 위한 조직이라고 명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회원국에 대한 공격을 감행한 점도 비판받았다. NATO는 발칸반도의 불안정이 회원국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라고 주장하며, 군사 작전이 NATO 헌장상 허용된다고 주장했다. 당시 발칸반도의 불안정으로 직접적인 위협을 받은 국가는 그리스였다.
노엄 촘스키, 에드워드 사이드 등 서구 정치인과 반전 운동가들은 NATO의 작전을 미국의 침략, 제국주의로 간주하고 비판했다. 그러나 이라크 전쟁에 대한 반전 운동과 비교하면, 코소보 분쟁 개입에 대한 반전 운동은 많은 지지를 얻지 못했다. 당시 각국의 지도자들은 대부분 중도좌파 또는 온건한 자유주의 정치인들이었다.
NATO의 군사 작전 지휘 방식에 대해서도 비판이 제기되었다. NATO는 유도탄을 사용한 "깨끗한 전쟁"을 실현하고자 했으나, 열화 우라늄과 집속탄 사용, 정유소와 화학 공장 공격 등으로 비판받았다. 또한, 분쟁 지연에 대한 비판도 있었다.
코소보 분쟁에 대한 비판은 코소보에서 발생한 대량학살을 막지 못한 여러 당사자 지도자들에게도 향해졌다.[399]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알바니아인 학살을 막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400] 윌리엄 코언 국방장관은 "코소보에서의 학살에 대한 끔찍한 보고"를 언급하며, 이 전쟁이 대량학살을 막기 위한 정의로운 전쟁임을 강조했다.[401] 클린턴 대통령은 코소보에서 일어난 일들을 홀로코스트와 비교하기도 했다.[405]
유엔 헌장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다른 독립국에 대한 군사 침략을 금지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 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기했으나, 관련 결의안은 부결되었다.[408]
1999년 4월 29일, 유고슬라비아는 헤이그에 있는 국제사법재판소에 NATO 회원국들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으나, 재판소는 유고슬라비아가 당시 유엔 회원국이 아니었기 때문에 판결을 회피했다.
서방 국가에서는 주로 자유주의 우파와 극좌주의자들이 NATO의 공격에 반대했다.
7. 군사적, 정치적 결과
이로써 유고슬라비아는 코소보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잃고 코소보는 사실상 독립하게 된다.[202] 세르비아의 조직적인 인종청소로 민간인을 포함한 많은 사람이 학살되었으며,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등은 국제 사법 재판소에 전범으로 기소되어 재판 중 사망하였다.
또한 세르비아와 코소보에서 수십만 명에 달하는 난민이 발생하여 스위스 등 인접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로 밀려들었다. 코소보 전쟁, 특히 나토의 폭격 작전의 정당성에 대한 지지는 다양했다. 2009년 기사에서 데이비드 클락은 "나토 회원국, EU 회원국, 그리고 유고슬라비아의 대부분 이웃 국가들이 군사 행동을 지지했다"라고 주장했다.[202] 미국, 체코, 영국 지도자들은 각각 전쟁을 "우리의 가치를 옹호하고, 우리의 이익을 보호하며, 평화의 대의를 증진시키는 것",[201] "가치를 위한 최초의 전쟁",[202] 그리고 "코소보에서 일어날 인도주의적 재앙을 막기 위한 것"[203]으로 묘사했다.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군은 120만 명에서 145만 명에 달하는 코소보 알바니아인 난민 발생을 초래했다.[75] [76] 1999년 6월 전쟁이 끝난 후, 많은 알바니아 난민들이 이웃 국가들에서 고향으로 돌아오기 시작했다. 1999년 11월까지, 유엔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1,108,913명 중 848,100명이 귀환했다.[286]
1991년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코소보의 약 200만 명 인구 중 194,190명은 세르비아인, 45,745명은 로마인, 20,356명은 몬테네그로인이었다.[287] 휴먼 라이츠 워치에 따르면, 20만 명의 세르비아인과 수천 명의 로마인이 전쟁 중과 전쟁 후 코소보에서 탈출했다.[288] 유고슬라비아 적십자사도 11월 26일까지 주로 세르비아인 난민 247,391명을 등록했다.[290]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군의 철수와 NATO 주도 코소보군(KFOR)의 코소보 진주 이후 7주 동안 16만 4천 명이 넘는 세르비아인이 코소보를 떠났다.[291]
코소보의 불안정(2000년)과 코소보의 2004년 폭동에서 추가적인 종족 간 폭력이 발생했다.
코소보 전쟁은 군사적, 정치적 결과 측면에서 여러 중요한 결과를 가져왔다. 코소보의 지위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이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244호에 따라 구상된 코소보의 자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국제 협상이 2006년에 시작되었지만 실패했다. 이 지역은 2008년 2월 17일 일방적인 독립 선언에도 불구하고 유엔의 관리를 받고 있다.
마르티 아티사리 유엔 특사가 이끈 유엔 지원 회담은 2006년 2월에 시작되었다. 기술적인 문제에 대한 진전이 있었지만, 양측은 지위 자체에 대한 문제에 대해 여전히 정반대의 입장을 유지했다.[341] 2007년 2월, 아티사리는 베오그라드와 프리슈티나의 지도자들에게 지위 해결 방안 초안을 제시했는데, 이는 이 지역에 대한 "감독하의 독립"을 제안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초안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1244호와 상반된다. 2007년 7월까지, 미국, 영국 및 안전보장이사회의 다른 유럽 회원국들이 지지한 결의안 초안은 그러한 결의안이 국가 주권 원칙을 훼손할 것이라는 러시아의 우려를 수용하기 위해 네 번 수정되었다.[342] 5개 상임이사국 중 하나로 안전보장이사회에서 거부권을 가진 러시아는 베오그라드와 프리슈티나 모두가 수용할 수 없는 결의안은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343]
이 전투는 미국의 무기고의 심각한 약점을 드러냈고, 이후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투에서 해결되었다. 아파치 공격 헬리콥터와 AC-130 스펙터 건쉽이 최전선으로 배치되었지만, 두 대의 아파치가 알바니아 산맥에서 훈련 중 추락한 후 사용되지 않았다. 많은 정밀 유도 미사일의 재고는 심각하게 부족한 수준으로 줄었다. 전투기의 경우, 지속적인 작전으로 인해 정비 일정이 지연되었고, 많은 항공기가 예비 부품과 정비를 기다리며 운용에서 제외되었다.[344] 또한, 많은 정밀 유도 무기는 구름이 레이저 유도 빔을 차단했기 때문에 발칸반도의 날씨에 대처할 수 없다는 것이 드러났다. 이는 악천후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 GPS 위성 유도 장치를 폭탄에 장착함으로써 해결되었다. 무인 정찰 항공기가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지만, 종종 공격기가 기회를 포착하여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을 만큼 빠르게 현장에 도착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에서 프레데터 드론에 미사일이 장착되어 "센서에서 슈터까지"의 시간이 사실상 제로로 줄어들었다.
코소보는 또한 일부 저기술 전술이 나토와 같은 첨단 기술 부대의 영향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밀로셰비치 정부는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의 바트당 정권과 협력하여 걸프 전쟁에서 얻은 교훈을 많이 전수했다.[345] 유고슬라비아군은 오랫동안 냉전 기간 동안 훨씬 강력한 적, 즉 소련이나 나토를 저항해야 할 것으로 예상해 왔으며, 이에 대응하여 기만과 은폐 전술을 개발했다. 이러한 전술은 대규모 침공에 오랫동안 저항할 수 없었을 것이지만, 상공의 항공기와 위성을 오도하는 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사용된 전술은 다음과 같다.
- 미국의 스텔스 항공기는 장파장으로 작동하는 레이더로 추적되었다. 스텔스 제트기가 젖거나 폭탄창 문을 열면 레이더 화면에 나타났다. F-117 나이트호크 격추는 이러한 방식으로 발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46]
- 가짜 다리, 비행장, 모조 항공기 및 탱크와 같은 가짜 표적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낡은 타이어, 플라스틱 시트 및 통나무를 사용하여 탱크를 만들었고, 모래주머니와 연료를 불태워 열 신호를 모방했다. 세르비아는 나토 조종사들을 속여 수백 개의 미끼를 폭격하게 했다고 주장하지만, 클라크 장군의 조사에 따르면 연합군 작전에서 나토 조종사들은 25개의 미끼만을 명중시켰고, 이는 검증된 974개의 명중 건수 중 무시할 만한 비율이다.[347] NATO 측은 이것이 부대, 이 경우 항공기가 아무리 가능성이 낮더라도 모든 표적을 공격하도록 의무화하는 작전 절차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표적은 감지되었을 때 공격받기만 하면 실제로 보이기만 하면 되었다. 나토는 유고슬라비아 공군이 궤멸되었다고 주장했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코소보의 유고슬라비아군은 공중 작전으로 탱크의 26%, 장갑차의 34%, 포병의 47%를 손실했다."[347]
코소보 전쟁의 결과로 NATO는 두 번째 NATO 훈장인 코소보 파병 NATO 훈장(NATO 훈장)을 제정하였는데, 이는 국제 군사 훈장이다. 그 직후 NATO는 유고슬라비아와 코소보 작전을 하나의 종군 훈장으로 통합하기 위해 비제5조 훈장(발칸반도 파병)을 제정했다.[348]
미국 군대의 참전으로 인해, 빌 클린턴 대통령에 의해 2000년에 코소보 작전 훈장(미군 훈장)이라고 알려진 별도의 코소보 작전 훈장이 제정되었다.
코소보 작전 훈장(KCM)은 빌 클린턴 대통령의 2000년 5월 3일 자 13154호 행정 명령에 의해 제정된 미국군의 군사 훈장이다. 이 훈장은 1999년 3월 24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코소보에서 수행된 군 복무를 인정한다.



NATO의 세르비아 공습은 1999년 3월 24일부터 6월 11일까지 이어졌으며, 최대 1,000대의 항공기가 주로 이탈리아 기지를 중심으로 작전에 참여하여 아드리아해 등에 배치되었다. 순항미사일인 토마호크도 대규모로 사용되었으며, 항공기, 전함, 잠수함 등에서 발사되었다. NATO 모든 회원국이 작전에 일정 부분 참여했다. 10주간의 충돌에서 NATO 항공기의 출격은 38,000회를 넘었다. 독일 공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전투에 참여했다.
참조
[1]
뉴스
Yugoslav Troops Said to Cross Into Albania
https://www.latimes.[...]
1999-04-14
[2]
뉴스
War In The Balkans: Serbs enter Albania and burn village
https://www.independ[...]
1999-04-14
[3]
웹사이트
Hostage-Taking and Kidnapping Terror in the COE
https://fas.org/irp/[...]
US Army Training and Doctrine Command
2008-12-05
[4]
웹사이트
A Chronology of U.S.-Middle East Relations
https://www.wrmea.co[...]
1999-07-25
[5]
서적
From Power Sharing to Democracy: Post-Conflict Institutions in Ethnically Divided Societies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5
[6]
서적
Civic and Uncivic Values in Kosovo: History, Politics, and Value Transformation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2015
[7]
논문
A clear victory for air power: NATO's empty threat to invade Kosovo
2003
[8]
뉴스
Milosevic Claims Victory, Lauds Army
https://www.washingt[...]
1999-06-11
[9]
뉴스
Yugoslav, NATO Generals Sign Peace Agreement for Kosovo / Alliance will end air campaign when Serbian troops pull out
http://www.sfgate.co[...]
1999-06-10
[10]
서적
After Yugoslavia: Identities and Politics Within the Successor States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2
[11]
서적
Protecting Civilians: The Obligations of Peacekeep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2]
웹사이트
Abuses against Serbs and Roma in the new Kosovo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9-08
[13]
웹사이트
The Violence: Ethnic Albanian Attacks on Serbs and Roma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4-07
[14]
뉴스
Kosovo Crisis Update
http://www.unhcr.org[...]
1999-08-04
[15]
웹사이트
Forced Expulsion of Kosovo Roma, Ashkali and Egyptians from OSCE Participated state to Kosovo
http://www.osce.org/[...]
OSCE
2006-10-06
[16]
뉴스
Strength of KLA 'has tripled'
https://www.theguard[...]
1999-05-29
[17]
서적
Bosnian Genocide: The Essential Reference Guid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16-01-18
[18]
뉴스
Focus: Kosovo Peace Deal - Briton in KLA 'kills 24 Serbs'
https://www.independ[...]
1999-06-12
[19]
웹사이트
Balkans fighters are taking up arms in Ukraine, with risks for organized crime
https://riskbulletin[...]
Global Initiative Against Transnational Organized Crime
[20]
웹사이트
Die Bundeswehr zieht in den Krieg
http://www.60xdeutsc[...]
1999-03-24
[21]
웹사이트
Report to Congress: Kosovo operation allied force after-action report
http://www.au.af.mil[...]
2000-01-30
[22]
웹사이트
NATO Operation Allied Force
http://www.defense.g[...]
[23]
웹사이트
NATO Operation Allied Force
https://archive.defe[...]
[24]
웹사이트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 3. Forces of the Conflict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5]
뉴스
Fighting for a foreign land
http://news.bbc.co.u[...]
BBC News
1999-05-20
[26]
웹사이트
Russian volunteer's account of Kosovo
http://russiajournal[...]
1999-07-05
[27]
서적
Ukraine in the Crossfire
https://books.google[...]
SCB Distributors
2017-04-05
[28]
뉴스
Kosova ka 2961 dëshmorë
https://klankosova.t[...]
2017-11-10
[29]
웹사이트
Kosovo Memory Book Databas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http://www.kosovomem[...]
Humanitarian Law Center
2015-02-04
[30]
뉴스
Two die in Apache crash
http://news.bbc.co.u[...]
1999-05-05
[31]
웹사이트
How to Take Down an F-117
http://www.strategyp[...]
2005-11-21
[32]
웹사이트
Holloman commander recalls being shot down in Serbia
http://www.f-16.net/[...]
2007-02-07
[33]
뉴스
F-117 damage said attributed to full moon
http://nl.newsbank.c[...]
1999-05-06
[34]
뉴스
Nato loses two planes
http://news.bbc.co.u[...]
1999-05-02
[35]
뉴스
Unmanned Aerial Vehicles Increase In Numbers
http://www.radardail[...]
Radardaily.com
2007-10-09
[36]
웹사이트
NATO nam ubio 1.008 vojnika i policajaca
https://web.archive.[...]
Mondo
2013-02-11
[37]
웹사이트
Stradalo 1.008 vojnika i policajaca
http://www.rts.rs/pa[...]
RTS, Radio televizija Srbije, Radio Television of Serbia
[38]
서적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archive.org/[...]
Routledge
[3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merican Military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서적
Taking Off: A Century of Manned Flight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41]
뉴스
The limits of air power
https://www.latimes.[...]
2011-04-03
[42]
웹사이트
Ein Berliner, ein Dresdener und ein Däne erzählen, wie sie als Freiwillige zu den albanischen Rebellen der UCK kamen: Aus dem Schützenverein ins Kosovo
https://www.berliner[...]
1999-07-11
[43]
웹사이트
ОТКРИВАМО: Ко је убијени руски добровољац чији снимак убиства су објавили Албанци(Видео)
https://srbin.info/d[...]
2014-02-15
[44]
웹사이트
List of killed, missing and disappeared 1998-2000
http://www.hlc-rdc.o[...]
[45]
웹사이트
https://srbin.info/d[...]
[46]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4-2007
https://archive.org/[...]
McFarland, Incorporated, Publishers
2008
[47]
서적
The Serbs: History, Myth and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48]
서적
Kosovo/Kosova: As Seen
[49]
웹사이트
Facts and Figurues – War in Europe
https://www.pbs.org/[...]
[50]
웹사이트
Civilian Deaths in the NATO Air Campaign – The Crisis In Kosovo
https://web.archive.[...]
[51]
웹사이트
754 Victims of NATO Bombing – Fond za humanitarno pravo/Humanitarian Law Center/Fondi për të Drejtën Humanitare | Fond za humanitarno pravo/Humanitarian Law Center/Fondi për të Drejtën Humanitare
http://www.hlc-rdc.o[...]
[52]
웹사이트
UNHCR - Kosovo Fact Sheet 2019
https://www.unhcr.or[...]
UNHCR
[53]
웹사이트
Press Statement by Dr. Javier Solana, Secretary General of NATO
http://www.nato.int/[...]
NATO
1999-03-23
[54]
서적
Violence After War: Explaining Instability in Post-Conflict State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Kosovo Report
http://reliefweb.int[...]
Oxford University Press
[56]
서적
International Conflict: Logic and Evidence
https://books.google[...]
Sage
[57]
간행물
The Kosovo Crisis: The Last American War in Europe?
Reuters
[58]
논문
Why Kosovar Albanians Took Up Arms against the Serbian Regime: The Genesis and Expansion of the UÇK in Kosovo
https://www.tandfonl[...]
2010-08-09
[59]
웹사이트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 2. Background
https://www.hrw.org/[...]
[60]
웹사이트
Chronology for Kosovo Albanians in Yugoslavia
https://www.refworld[...]
[61]
웹사이트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March–June 1999)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9-06-12
[62]
서적
The Serbs
Yale University Press
[63]
웹사이트
A Review of NATO's War over Kosovo
https://chomsky.info[...]
[64]
뉴스
Endgame in Kosovo
https://www.nytimes.[...]
2007-12-09
[65]
웹사이트
BBC News | Europe | K-For: The task ahead
http://news.bbc.co.u[...]
[66]
웹사이트
Kosovo war chronology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67]
뉴스
The Balkan wars: Reshaping the map of south-eastern Europe
https://www.economis[...]
2012-11-09
[68]
논문
The Influence of Operation Allied Force on the Development of the jus ad bellum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5
[69]
웹사이트
The Civilian Death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0-02
[70]
웹사이트
Case Studies of Civilian Deaths
https://web.archive.[...]
Human Rights Watch
2000-02
[71]
논문
NATO's Intervention in Kosovo and the Decision of the Prosecutor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Not to Investigate
http://scholarship.l[...]
2015-05-03
[72]
웹사이트
NATO: We Mistakenly Bombed Refugees
https://apnews.com/9[...]
1999-04-15
[73]
뉴스
Kosovo assault 'was not genocide'
http://news.bbc.co.u[...]
BBC
2011-09-07
[74]
웹사이트
List of Kosovo War Victims Published
https://balkaninsigh[...]
2014-12-10
[75]
서적
https://books.google[...]
[76]
웹사이트
Kosovo / Kosova: As Seen, As Told
http://www.osce.org/[...]
OSCE
1999-11-05
[77]
서적
https://books.google[...]
[78]
웹사이트
Serbia home to highest number of refugees and IDPs in Europe
http://www.b92.net/e[...]
B92
2010-06-20
[79]
웹사이트
Serbia: Europe's largest proctracted refugee situation
http://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2008
[80]
뉴스
Kosovo one year on
http://news.bbc.co.u[...]
2000-03-16
[81]
뉴스
KLA veterans linked to latest bout of violence in Macedonia
https://www.independ[...]
2001-03-12
[82]
서적
Kosovo Liberation Army: the inside story of an insurgency
[83]
논문
Violence and its Impact on Loyalty and Identity Formation in Late Ottoman Kosovo: Muslims and Christians in a Period of Reform and Transformation
[84]
논문
Orientalism and Nation: Jews and Muslims as Alterity in Southeastern Europe in the Age of Nation-States, 1878–1941
[85]
논문
Les raisons de la manière de l'exode des refugies albanais du territoire du sandjak de Nish a Kosove (1878–1878) The reasons for the manner of the exodus of Albanian refugees from the territory of the Sanjak of Nish to Kosovo (1878–1878)
[86]
논문
Nënte Dokumente angleze mbi Lidhjen Shqiptare të Prizrenit (1878–1880) [Nine English documents about the League of Prizren (1878–1880)
[87]
논문
Seeing the Albanians through Serbian eyes: The Inventors of the Tradition of Intolerance and their Critics, 1804–1939
https://journals.sag[...]
[88]
서적
Marrëdhëniet shqiptare--serbo-malazeze (1830-1878)
https://books.google[...]
1983
[89]
서적
Nation Failure, Ethnic Elites, and Balance of Power: The International Administration of Kosova
https://books.google[...]
Springer
[90]
서적
Mother Teresa: The Saint and Her Natio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91]
서적
The Albanian National Awakening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92]
서적
The lights that failed : European international history, 1919–1933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93]
서적
Managing a Global Workforc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Internat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6
[94]
서적
Aggression Against Yugoslavia Correspondence
https://books.google[...]
Faculty of Law, University of Belgrade
2000
[95]
서적
Kosovo: A Documentary History from the Balkan Wars to World War II
I.B.Tauris & Co. Ltd
[96]
서적
Social currents in Eastern Europe: Th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the great transformation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97]
서적
Understanding the War in Kosov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98]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06
[99]
서적
The Muslim-Croat Civil War in Bosnia: A Military History, 1992–1994
https://books.google[...]
Texas A&M University Press
2003
[100]
서적
The Roots and Consequences of 20th-Century Warfare: Conflicts that Shaped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ABC-CLIO
2016
[101]
서적
Transforming Heritage in the Former Yugoslavia: Synchronous Past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21
[102]
서적
Confronting the Yugoslav Controversies: A Scholars' Initiative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13
[103]
서적
The Polish Crisis and Relations with Eastern Europe, 1979–1982: Documents on British Policy Overseas, Series III, Volume X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
[104]
웹사이트
Kosovo conflict | Summary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6-08
[105]
웹사이트
Constitutional history of Kosovo
http://constitutionn[...]
[106]
서적
Kosovo and International Societ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2
[107]
서적
Understanding the War in Kosovo
Routledge
2004
[108]
뉴스
Minorities Leaving Yugoslav Province Dominated by Albanians
The Associated Press
1981-10-17
[109]
서적
Central and Southeast European Politics Since 1989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3-09
[110]
뉴스
Police fail to crush resistance in Kosovo
Financial Times
1982-02-05
[111]
뉴스
In Yugoslavia, Rising Ethnic Strife Brings Fears of Worse Civil Conflic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7-11-01
[112]
웹사이트
The Migration of Serbs and Montenegrins from Kosovo and Metohija
http://www.snd-us.co[...]
Serb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113]
웹사이트
Dossier – On Slobodan Milosevic – International Viewpoint – online socialist magazine
https://internationa[...]
2022-11-25
[114]
서적
Yugoslavia: A State that Withered Away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09
[115]
학술지
The (Un) Making of Milosevic
http://www.jstor.org[...]
2023-09-08
[116]
서적
A Guide to International Dialogue : Chronology of Kosovo 1974–2017
https://www.yihr.rs/[...]
Youth Initiative for Human Rights
2021-09-13
[117]
서적
Yugoslavia: A Concise History
https://archive.org/[...]
Palgrave Macmillan
[118]
서적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Tracking the Break-Up 1980–92
https://books.google[...]
Verso
[119]
서적
The 'Yugoslav' Crisis in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0]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21]
서적
Information Freedom and Censorship: World Report 1991
https://archive.org/[...]
[122]
서적
Yugoslavia Through Documents: From its creation to its dissolution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123]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Europ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24]
웹사이트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https://www.refworld[...]
Human Rights Watch
[125]
서적
The Kosovo Crisis: The Last American War in Europe?
Reuters
2001
[126]
서적
The Kosovo Tragedy: The Human Rights Dimensions
[127]
웹사이트
War crimes in Kosovo
https://www.refworld[...]
[128]
서적
Kosovo Liberation Army: The Inside Story of an Insurgency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9]
서적
The Ashgate Research Companion to Secession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3-04-28
[130]
서적
Liberating Kosovo: Coercive Diplomacy and U. S.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2012
[131]
학술지
Pan-Albanianism: How big a threat to Balkan stability?
https://www1.essex.a[...]
2017-12-04
[132]
뉴스
Serbs Pull Out of Talks on Bosnia to Protest Warning on Kosovo
https://www.nytimes.[...]
1999-08-12
[133]
웹사이트
The Threat Posed by the Convergence of Organized Crime, Drugs Trafficking and Terrorism
http://judiciary.hou[...]
United States House Judiciary Committee
2000-12-13
[134]
학술지
Pivotal Deterrence and the Kosovo War: Why the Holbrooke Agreement Failed
https://www.jstor.or[...]
[135]
뉴스
The KLA – terrorists or freedom fighters?
http://news.bbc.co.u[...]
BBC
1998-06-28
[136]
웹사이트
The Kosovo Liberation Army: Does Clinton Policy Support Group with Terror, Drug Ties?
https://www.senate.g[...]
United States Senate, Republican Policy Committee
1999-03-31
[137]
웹사이트
Stefan Troebst: The Kosovo Conflict, 1998. (Serbian Raid against Drenica, February to March)
http://www.bmlv.gv.a[...]
[138]
웹사이트
Kosovo Chronology: From 1997 to the end of the conflict
http://www.fco.gov.u[...]
British Parliament
1999-06
[139]
웹사이트
Kosovo War Crimes Chronology
https://hrw.org/camp[...]
Human Rights Watch
[140]
웹사이트
Secretary of State Madeleine K. Albright, Statement at the Contact Group Ministerial on Kosovo
https://1997-2001.st[...]
U.S. Department of State
1998-03-09
[141]
웹사이트
Ramush Haradinaj
http://www.iwpr.net/[...]
Institute for War and Peace Reporting
2005-03-11
[142]
웹사이트
Serbien (Jugoslawien), 23. April 1998 : Internationale Beobachter für Kosovo
http://www.sudd.ch/e[...]
Direct Democracy
1998-04-23
[143]
웹사이트
Statement by NATO Secretary General, Dr. Javier Solana, on Exercise "Determined Falcon"
https://www.nato.int[...]
NATO
2023-09-16
[144]
뉴스
Mission Impossible
https://edition.cnn.[...]
2020-12-10
[145]
웹사이트
The Developing Role of NATO and KFOR's Contribution to Peacebuilding in Kosovo
http://www.cssprojec[...]
CSSProject
2021-08-22
[146]
서적
Handbook of Ethnic Conflict: Internation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147]
서적
The Serbs: History, Myth, and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48]
서적
Disjointed War: Military Operations in Kosovo, 1999
[149]
서적
The Strategic Triangle
https://books.google[...]
[150]
서적
The Balkans Since the Second World
https://books.google[...]
[151]
행정명령
Executive Order 13088
USFR
1998-06-12
[15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Official Document
https://www.un.org/g[...]
[153]
보도자료
Statement by the Secretary General following the ACTWARN decision
http://www.nato.int/[...]
NATO
1998-09-24
[154]
보도자료
Statement to the Press by the Secretary General Following Decision on the ACTORD
http://www.nato.int/[...]
NATO
1998-10-13
[155]
웹사이트
Operation Allied Force
http://www.afsouth.n[...]
NATO
[156]
웹사이트
Serb Troops Digging In To Battle Kosovo Rebels
http://articles.sun-[...]
1998-10-20
[157]
웹사이트
The OSCE Kosovo Verification Mission
http://www.journal.f[...]
[158]
뉴스
Serbian Mayor Slain in Kosovo; New Sweep on Rebels Ordered
https://www.nytimes.[...]
1998-12-19
[159]
뉴스
Racak massacre haunts Milosevic trial
http://news.bbc.co.u[...]
2002-02-14
[160]
웹사이트
Transcript: Amb. Walker Press Conference After Massacre in Kosovo
http://www.usembassy[...]
Embassy of the United States Tel Aviv, Israel
1999-01-26
[161]
뉴스
Pristina waits for war
http://news.bbc.co.u[...]
1999-02-03
[162]
보도자료
Statement by the North Atlantic Council on Kosovo
http://www.nato.int/[...]
NATO
1999-01-30
[163]
웹사이트
Contact Group Statement – Rambouillet, 23 February 1999
http://www.ohr.int/o[...]
Office of the High Representative
1999-02-23
[164]
웹사이트
Kosovo's open wounds, twenty years on
https://mondediplo.c[...]
2019-03
[16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https://www.icj-cij.[...]
2009-04-17
[166]
서적
Confronting the Yugoslav Controversies: A Scholars' Initiative
https://docs.lib.pur[...]
Purdue University Press
[167]
간행물
The Kosovo Crises After May 1997
https://publications[...]
U.K. Parliamentary report
[168]
서적
Confronting the Yugoslav Controversies: A Scholars' Initiative
Purdue University Press
[169]
서적
Beyond Guns and Steel: A War Termination Strategy
https://books.google[...]
ABC-CLIO
[170]
웹사이트
Conclusions of Serbian parliament
http://www.serbia-in[...]
Government of Serbia
1999-03-24
[171]
웹사이트
Šainović et al. (IT-05-87) Judgement: Volume 1
https://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9-02-26
[172]
뉴스
Kosovo-Serbia: The background to the sirens in the Balkans - explainer
https://www.jpost.co[...]
[173]
뉴스
Nato poised to strike
http://news.bbc.co.u[...]
1999-03-23
[174]
웹사이트
Transcript: Holbrooke statement at NATO headquarters March 23
http://www.usembassy[...]
Usembassy-israel.org.il
1999-03-23
[175]
뉴스
NATO Mobilizes for Attack / Yugoslavia declares state of emergency
https://www.sfgate.c[...]
San Francisco Chronicle
1999-03-24
[176]
보도자료
Press Statement by Dr. Javier Solana, Secretary General of NATO
http://www.nato.int/[...]
NATO
1999-03-23
[177]
서적
The Kosovo Report: Conflict, International Response, Lessons Learned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78]
보도자료
Press Statement by Dr. Javier Solana, NATO Secretary General following the Commencement of Air Operations
http://www.nato.int/[...]
NATO
1999-03-24
[179]
웹사이트
NATO: We Mistakenly Bombed Refugees
https://apnews.com/a[...]
2022-11-25
[180]
웹사이트
Final Report to the Prosecutor by the Committee Established to Review the NATO Bombing Campaign Against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http://www.icty.org/[...]
UNICTY
[181]
뉴스
Nato bombed Chinese deliberatel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1999-10-17
[182]
웹사이트
Final Report to the Prosecutor by the Committee Established to Review the NATO Bombing Campaign Against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http://www.icty.org/[...]
UNICTY
[183]
서적
A History of Modern Britain
[184]
뉴스
CIA reportedly authorized to develop ways to 'destabilize' Yugoslavian government
http://www.cnn.com/W[...]
CNN
2008-07-22
[185]
웹사이트
UCK hjalp norsk spesialstyrke
http://www.vg.no/nyh[...]
NTB
2008-10-08
[186]
웹사이트
Norway has forces in Afghanistan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English Web Desk
2008-10-08
[187]
서적
Norges Hemmelige Krigere / Norway's secret Warriors
Kagge
[188]
뉴스
Milosevic accepts peace plan, Finnish envoy says
http://www.cnn.com/W[...]
CNN
2010-05-07
[189]
뉴스
The Kosovo Peace Plan
https://nytimes.com/[...]
The New York Times
2010-05-07
[190]
보도자료
Press statement by NATO Secretary General
http://www.nato.int/[...]
NATO
1999-06-10
[191]
학술지
From Benchmarking to Final Status? Kosovo and the Problem of an International Administration's Open-Ended Mandate
[192]
웹사이트
Krigere og diplomater {{!}} Norli
http://www.norli.no/[...]
2018-12-05
[193]
서적
Norges hemmelige krigere
http://www.norli.no/[...]
Kagge
2018-12-05
[194]
웹사이트
Britisk og norske soldater i Pristina
https://www.vg.no/i/[...]
1999-06-12
[195]
웹사이트
Norske elitesoldater skamroses
https://www.vg.no/i/[...]
2000-03-03
[196]
기타
Sergeant William Wright – B Company 9th Engineers (17 July 1999); Specialist Sherwood Brim – B Company 9th Engineers (17 July 1999); Private First Class Benjamin McGill – C Company 1st Battalion 26th Infantry (5 August 1995).
[197]
서적
Soldier
https://archive.org/[...]
Transworld Publishers
[198]
뉴스
Singer James Blunt 'prevented World War III'
BBC
2010-11-14
[199]
뉴스
Confrontation over Pristina airport
http://news.bbc.co.u[...]
BBC
2008-02-08
[200]
서적
The Serbs
Yale University Press
[201]
웹사이트
Statement on Kosovo (24 March 1999)
http://millercenter.[...]
Miller Center at the University of Virginia
2016-11-21
[202]
뉴스
Kosovo was a just war, not an imperialist dress rehearsa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4-16
[203]
뉴스
Blair: 'We must act – to save thousands of innocent men, women and childre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1999-03-23
[204]
학술지
NATO intervention in Kosovo: the legal context
http://www.journal.f[...]
2000-03-01
[205]
뉴스
Kofi Annan's delicate balance
http://news.bbc.co.u[...]
BBC
1999-04-13
[206]
웹사이트
The Kosovo Report
http://sitemaker.umi[...]
U Michigan
2018-11-26
[207]
웹사이트
The Kosovo Report
http://sitemaker.umi[...]
U Michigan
2018-11-26
[208]
웹사이트
The Kosovo crisis in an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self-determination, territorial integrity and the NATO intervention
http://www.nato.int/[...]
NATO Office of Information and Press
2001-06-16
[209]
웹사이트
The Kosovo crisis in an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self-determination, territorial integrity and the NATO intervention
http://www.nato.int/[...]
NATO Office of Information and Press
2001-06-16
[210]
학술지
Review Essays: Ethics, Diplomacy and Intervention in Kosovo
2001-01-01
[211]
뉴스
South Ossetia Isn't Kosovo
http://www.slate.com[...]
2008-08-18
[212]
뉴스
Kosovo Revisited
http://www.thenation[...]
2000-03-22
[213]
뉴스
The international community makes a terrible mess wherever it goes
https://www.theguard[...]
2008-04-01
[214]
서적
From Watergate to Monicagate: ten controversies in modern journalism and media
https://archive.org/[...]
[215]
뉴스
Serbia's anniversary is a timely reminder
https://www.theguard[...]
2009-03-24
[216]
서적
The New Military Humanism: Lessons from Kosovo
Common Courage Press
[217]
학술지
The Kosovo War: Causes and Justification
https://www.jstor.or[...]
Taylor & Francis, Ltd.
[218]
학술지
Responsibility to Peace: A Critique of R2P
https://www.tandfonl[...]
[219]
뉴스
Numbers Game in Kosovo
1999-10-19
[220]
뉴스
Serb killings 'exaggerated' by west
https://www.theguard[...]
2000-08-18
[221]
기타
[222]
웹사이트
Deceit And Lies Over Kosovo
https://www.aim.org/[...]
Accuracy in Media
1999-11-24
[223]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the Security Council: Collective Security Since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24]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Rejects Demand for Cessation of Use of Force Again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1999-03-26
[225]
웹사이트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26]
뉴스
Was It A Mistake?
https://www.washingt[...]
2000-03-26
[227]
뉴스
U.N. Has Found 2,108 Bodies So Far in Kosovo Mass Graves
https://www.wsj.com/[...]
1999-11-11
[228]
뉴스
Rights Group Says NATO Bombing in Yugoslavia Violated Law
https://www.nytimes.[...]
2000-06-08
[229]
서적
Paqja e përgjakshme: konferenca Ndërkombëtare për Kosovën, Rambuje 6–23. 2. 1999, Paris 14–19. 3. 1999
https://books.google[...]
Botimet Toena
[230]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31]
서적
The United States and Coercive Diplomacy
https://books.google[...]
US Institute of Peace Press
[232]
서적
Liberating Kosovo: Coercive Diplomacy and U.S.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MIT Press
[233]
서적
Bosnia, Kosova & the West
https://books.google[...]
Resistance Books
[234]
서적
Understanding the War in Kosovo
https://books.google[...]
Routledge
[235]
서적
The Albanian Question: Reshaping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I.B. Tauris
[236]
서적
Mediation and Liberal Peacebuilding: Peace from the Ashes of Wa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37]
서적
Pivotal Deterrence: Third-party Statecraft and the Pursuit of Peace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38]
기타
Jo shtatore ne Tirane atij qe nuk luftoi per clirimin e Kosoves
http://www.albaniana[...]
AAV
2016-01-23
[239]
기타
Inside the KLA
http://www.kosovo.ne[...]
International Viewpoint
1992-04-10
[240]
기타
https://books.google[...]
[241]
기타
NATO's Balkan War and the Kosova Liberation Struggle
http://www.dsp.org.a[...]
Democratic Socialist Perspective – The Activist – Volume 9
1999-06-14
[242]
서적
Ethical Foreign Policy?: US Humanitarian Interventions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243]
기타
https://books.google[...]
[244]
서적
The search for Greater Albania
https://books.google[...]
Hurst & Co.
[245]
서적
Dilemmas of Democracy and Dictatorship: Place, Time and Ideology in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246]
서적
The Former Yugoslavia at the Turn of the Twenty-First Century: A Guide to the Economies in Trans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47]
간행물
Kosova: Zgjedhje Historike
https://d2071andvip0[...]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01-11-21
[248]
뉴스
Outspoken Kosovo activist gunned down in stairwell
Toronto Star via Washington Post
2000-11-24
[249]
뉴스
3,000 missing in Kosovo
http://news.bbc.co.u[...]
BBC
2000-06-07
[250]
간행물
Casualties in Kosovo
http://pdf.thelancet[...]
2000-06-24
[251]
논문
War and mortality in Kosovo, 1998–99: an epidemiological testimony
https://pubmed.ncbi.[...]
2004-06-24
[252]
웹사이트
OHCHR | Missing persons receive renewed attention in Kosovo
https://www.ohchr.or[...]
[253]
웹사이트
Kosovo One Year On: Achievement and Challenge, by Lord Robertson of Port Ellen, Secretary General of NATO
http://www.nato.int/[...]
NATO
2000-03-01
[254]
뉴스
Tribunal focuses on Serbia's Kosovo war
https://www.nytimes.[...]
1969-12-31
[255]
웹사이트
Ethnic Cleansing in Kosovo: An Accounting
https://1997-2001.st[...]
US Department of State
[256]
웹사이트
Killings and Refugee Flow in Kosovo
http://shr.aaas.org/[...]
2002-01-03
[257]
웹사이트
Expert Report to the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Milutinovic et al., Case No. IT-05-87 PT
https://pdx.academia[...]
[258]
뉴스
Serb killings 'exaggerated' by west
https://www.theguard[...]
2000-08-18
[259]
웹사이트
Graves put Kosovo death toll in doubt
http://www.theguardi[...]
1999-11-11
[260]
뉴스
Vlastimir Djordjevic: Serbian Official Involved in Kosovo Crimes Cover-Up
https://balkaninsigh[...]
2019-06-05
[261]
보고서
Dossier: The cover-up of evidence of crimes during the war in Kosovo: The Concealment of Bodies Operation
http://www.hlc-rdc.o[...]
Humanitarian Law Center
2017
[262]
웹사이트
The Town Of Glogovac
https://www.hrw.org/[...]
[263]
웹사이트
Serbia uncovers 'Kosovo mass grave'
http://english.aljaz[...]
Al Jazeera English
2010-05-10
[264]
뉴스
Kosovo Albanian mass grave found under car park in Serbia
https://www.theguard[...]
2010-05-10
[265]
뉴스
250 ethnic Albanians found in mass grave
https://www.independ[...]
2010-05-11
[266]
뉴스
Two Kosovo Albanians Identified from Wartime Mass Grave in Serbia
https://balkaninsigh[...]
2021-04-06
[267]
웹사이트
Justice Gap For Kosovo 20 Years On
https://www.hrw.org/[...]
2019-06-13
[268]
웹사이트
Abuses Against Serbs And Roma In The New Kosovo
https://www.hrw.org/[...]
1999-08-01
[269]
뉴스
Serbs murdered by the hundred since 'liberation'
https://www.independ[...]
1999-11-24
[270]
웹사이트
Officially confirmed / documented NATO helicopter losses
http://www.aeronauti[...]
2001-02-23
[271]
뉴스
U.S. helicopter crew killed in crash in Albania
http://www.cnn.com/U[...]
1999-05-05
[272]
뉴스
Two die in Apache crash
http://news.bbc.co.u[...]
BBC
1999-05-05
[273]
웹사이트
Kosovo and the Continuing SEAD Challenge
http://www.airpower.[...]
United States Air Force
2006-06-03
[274]
웹사이트
Description of our Failing Defense Acquisition System
http://www.pogo.org/[...]
2005-03-08
[275]
뉴스
Damage said attributed to full moon
Nl.newsbank.com
1999-05-06
[276]
웹사이트
A-10 Thunderbolt II
http://www.ejection-[...]
Ejection-history.org.uk
[277]
뉴스
We're Trapped... We Can't Get Out
The Washington Post
2014-04-02
[278]
서적
The Threatening Storm: What Every American Needs to Know Before an Invasion in Iraq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279]
뉴스
Kosovo: The conflict by numbers
http://news.bbc.co.u[...]
BBC
1999-06-11
[281]
서적
The Balkans: A Post-Communist History
https://archive.org/[...]
Routledge
[28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American Military History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83]
웹사이트
Kosovo Coverup
http://one-six-one.f[...]
One-six-one.fifthinfantrydivision.com
2000-05-15
[284]
뉴스
The Kosovo Cover-Up
Newsweek
2000-05-15
[285]
뉴스
NATO Bombs Leave Toxic Slough
https://web.archive.[...]
[286]
서적
The G and T Defense: George W Bush and Tony Blair: Heroes, Not Villains
https://books.google[...]
Lulu.com
[287]
서적
Political Parties of Eastern Europe: A Guide to Politics in the Post-Communist Era
https://books.google[...]
Th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88]
웹사이트
Kosovo/Serbia: Protect Minorities from Ethnic Violence
https://web.archive.[...]
Human Rights Watch
[289]
보고서
Under order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01-00-00
[290]
웹사이트
Refworld {{!}} Reversal of Fortune: Serbia's Refugee Crisis
https://www.refworld[...]
[291]
웹사이트
Abuses against Serbs and Roma in the New Kosovo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92]
뉴스
Uncomfortable Truths: War Crimes in the Balkans
http://www.balkanins[...]
2011-11-16
[293]
서적
The Revival of Islam in the Balkans: From Identity to Religiosity
Palgrave Macmillan
[294]
서적
[295]
서적
The Destruction of Memory: Architecture at War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296]
서적
Violence taking place: The architecture of the Kosovo conflict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97]
학술지
The Legendary Commander: the construction of an Albanian master-narrative in post-war Kosovo
[298]
뉴스
Pioneering Kosovo Rape Victim Relives Battle for Justice
http://www.balkanins[...]
Birn
2018-10-18
[299]
웹사이트
"Wounds that burn our souls": Compensation for Kosovo's wartime rape survivors, but still no justice
https://web.archive.[...]
Amnesty International
2017-12-13
[300]
서적
War Crimes and Justice: A Reference Handbook
https://books.google[...]
ABC-CLIO
[301]
서적
Genocide: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302]
서적
The Serbs
Yale University Press
[303]
웹사이트
Šainović et al., Case Information Sheet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14-00-00
[304]
웹사이트
Vlastimir Đorđević – Case Information Sheet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305]
뉴스
Five Senior Serb Officials Convicted of Kosovo Crimes, One Acquitted
http://www.icty.org/[...]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 for the former Yugoslavia
2009-02-26
[306]
뉴스
UN tribunal upholds judgments in three cases against Kosovo fighters
https://news.un.org/[...]
2007-09-27
[307]
뉴스
Horrors Alleged in Kosovo
https://www.wsj.com/[...]
2008-04-14
[308]
뉴스
Kosovo ex-PM Ramush Haradinaj cleared of war crimes
https://www.bbc.co.u[...]
2012-11-29
[309]
웹사이트
ICTY prosecution denies claims of murder of witnesses in Haradinaj case
https://archive.toda[...]
[310]
웹사이트
Kosovo/Albania: Investigate Alleged KLA Crimes
https://www.hrw.org/[...]
2010-12-15
[311]
웹사이트
South-East Europe and Kosovo: Evaluation of the humanitarian situation in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particularly in Kosovo and Montenegro
http://assembly.coe.[...]
Parliamentary Assembly of the Council of Europe
1999-09-18
[312]
웹사이트
Kosovo court to be established in The Hague
https://www.governme[...]
2016-01-15
[313]
웹사이트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executive summary
https://www.hrw.org/[...]
hrw.org
2001-00-00
[314]
뉴스
I Keep Telling Myself that Justice Will Prevail
https://www.spiegel.[...]
Spiegel
[315]
뉴스
Amnesty: NATO bombing of Serbian TV 'war crime'
https://www.sandiego[...]
2009-04-23
[316]
뉴스
Nato air strikes – the world reacts
http://news.bbc.co.u[...]
1999-03-25
[317]
뉴스
Mixed Asian reaction to NATO strikes
http://news.bbc.co.u[...]
1999-03-25
[318]
뉴스
Bombing fuels Chinese hostility
http://news.bbc.co.u[...]
1999-05-08
[319]
뉴스
Israeli's Kosovo Remarks Raise Ire
https://www.latimes.[...]
LA Times
1999-04-09
[320]
뉴스
Ariel Sharon... by Robert Fisk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6-01-06
[321]
뉴스
Russia or Ukraine? For some Israelis, Holocaust memories are key
http://www.haaretz.c[...]
Haaretz
2014-04-15
[322]
웹사이트
Kosovo: International Reactions to NATO Air Strikes
https://apps.dtic.mi[...]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 The Library of Congress
2018-12-11
[323]
서적
Unholy Alliance: Greece and Milošević's Serbia
[324]
뉴스
French pilots fly for Nato
http://news.bbc.co.u[...]
1999-04-24
[325]
뉴스
Monitoring | Milosevic's statement: 'Defend the country'
http://news.bbc.co.u[...]
1999-03-24
[326]
웹사이트
Historical MUN Session Topic: Kosovo Conflict January 2013 Study Guide
http://afa.at/modelu[...]
2013-01
[327]
뉴스
La guerra del Kosovo, Parisi e le scelte di Prodi e D' Alema'
https://web.archive.[...]
2004-02-25
[328]
뉴스
L'errore del Cavaliere'
http://www.corriere.[...]
2007-03-28
[329]
서적
Collision Course: NATO, Russia, and Kosovo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30]
뉴스
Russia condemns Nato at UN
http://news.bbc.co.u[...]
1999-03-25
[331]
뉴스
Fighting for a foreign land
http://news.bbc.co.u[...]
1999-05-20
[332]
뉴스
Britons 'support Nato strikes'
http://news.bbc.co.u[...]
1999-03-28
[333]
웹사이트
Bombardowanie Serbii – 10 lat później
https://web.archive.[...]
przegladprawoslawny.pl
2009
[334]
웹사이트
Przeciw nalotom NATO
http://www.archiwum.[...]
archiwum.wyborcza.pl
1999
[335]
웹사이트
A Kosovo chronology
https://www.pbs.org/[...]
PBS.org
1999-05-04
[336]
간행물
NATO Applicant States
https://www.everycr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337]
뉴스
Sofia hit by Nato missile
http://news.bbc.co.u[...]
1999-04-29
[338]
뉴스
Nato air strikes – the world reacts
http://news.bbc.co.u[...]
1999-03-25
[339]
뉴스
In Syria, is bloody history repeating itself?
https://www.theglobe[...]
2012-08-06
[340]
웹사이트
Secretary-General deeply regrets Yugoslav rejection of political settlement; says Security Council should be involved in any decision to use force
https://www.un.org/p[...]
[341]
뉴스
UN frustrated by Kosovo deadlock
http://news.bbc.co.u[...]
BBC
2006-10-09
[342]
웹사이트
Russia reportedly rejects fourth draft resolution on Kosovo status
http://www.setimes.c[...]
2007-06-29
[343]
웹사이트
UN Security Council remains divided on Kosovo
http://www.setimes.c[...]
2007-10-07
[344]
웹사이트
Hundreds of crippled jets put RAF in crisis
https://web.archive.[...]
2000-01-23
[345]
웹사이트
NATO attack on Yugoslavia gave Iraq good lessons
https://web.archive.[...]
[346]
웹사이트
Kosovo and the Continuing SEAD Challenge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ir Force
2006-06-03
[347]
웹사이트
Nine Myths About Kosovo
https://web.archive.[...]
2000-06
[348]
웹사이트
News Release: Kosovo Campaign Medal Approved
https://web.archive.[...]
2000-05-19
[349]
뉴스
Kosovo crisis – military hardware
http://news.bbc.co.u[...]
1999-03-25
[350]
웹사이트
War in Europe: Facts & figures
http://www.pbs.org/w[...]
[351]
웹사이트
Serb killings 'exaggerated' by west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9-11
[352]
웹사이트
Casualties in Kosovo
http://pdf.thelancet[...]
The Lancet
2004-10-29
[353]
웹사이트
Two die in Apache crash
http://news.bbc.co.u[...]
2009-11
[354]
서적
The Kosovo conflict and international law
https://books.google[...]
Cambrige Univerity Press
2023-11-26
[355]
뉴스
Milosevic proclaims victory with end to Kosovo conflict
http://www.cnn.com/W[...]
CNN
2010-05-22
[356]
간행물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 March-June 1999: An Overview
http://www.hrw.org/r[...]
Human Rights Watch
2017-05-15
[357]
웹사이트
Proves that there were more than 3,000 murdered Serbs in Serbian province of Kosovo-Metohija by KLA forces
http://www.srbija.sr[...]
2007-07-02
[358]
웹사이트
Victims of KLA terrorists in Serbian province of Kosovo-Metohia
http://www.arhiva.se[...]
2005-03-06
[359]
웹사이트
List of Albanian civilians killed by KLA forces
http://www.arhiva.se[...]
2005-03-06
[360]
간행물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 executive summary
http://www.hrw.org/r[...]
Human Rights Watch
2007-04-14
[361]
간행물
THE CRISIS IN KOSOVO
http://www.hrw.org/r[...]
Human Rights Watch
2014-10-22
[362]
웹사이트
Operation Allied Force
http://www.nato.int/[...]
NATO
2016-09-12
[363]
웹사이트
Biography of His Holiness Patriarch Pavle
http://www.serbianor[...]
2009-02-27
[364]
웹사이트
The Migration of Serbs and Montenegrins from Kosovo and Metohija
http://www.snd-us.co[...]
Serb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2019-01-04
[365]
서적
引き裂かれた国家―旧ユーゴ地域の民主化と民族問題
有信堂高文社
2003-10-10
[366]
서적
なぜ戦争は終わらないか ユーゴ問題で民族・紛争・国際政治を考える
みすず書房
2002-11-21
[367]
웹사이트
Kosovo: Peace Now
http://www.kosovo.ne[...]
kosovo.net, originally from b92.net
2008-04-29
[368]
웹사이트
The Threat Posed by the Convergence of Organized Crime, Drugs Trafficking and Terrorism.
http://judiciary.hou[...]
U.S. House Judiciary Committee
2005-02-26
[369]
웹사이트
Behind the Kosovo crisis
http://news.bbc.co.u[...]
BBC
2016-01-01
[370]
웹사이트
The KLA - terrorists or freedom fighters?
http://news.bbc.co.u[...]
BBC
2007-12-26
[371]
웹사이트
The Kosovo Liberation Army: Does Clinton Policy Support Group with Terror, Drug Ties?
http://www.senate.go[...]
U.S. Senate, Republican Policy Committee
2000-08-16
[372]
웹사이트
Kosovo Chronology: From 1997 to the end of the conflict
http://www.fco.gov.u[...]
British Parliament
2003-07-31
[373]
웹사이트
Kosovo War Crimes Chronology
http://hrw.org/campa[...]
Human Rights Watch
2012-07-10
[374]
웹사이트
Ramush Haradinaj
http://www.iwpr.net/[...]
IWPR
2009-01-16
[375]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usembassy[...]
2008-12-06
[376]
웹사이트
Moral Combat:NATO at War
http://news.bbc.co.u[...]
BBC
2012-11-12
[377]
웹사이트
Serbs Unplug CNN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2012-12-09
[378]
웹사이트
Interim Agreement for Peace and Self-Government in Kosovo
http://www.state.gov[...]
U.S. State Department
2012-06-29
[379]
웹사이트
Nato bombed Chinese deliberately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8-07-24
[380]
웹사이트
Milošević's China dream flops, Chinatown-Belgrade booms
2008-03-05
[381]
뉴스
Showdown in Yugoslavia: An Ally
The New York Times
2000-10-08
[382]
뉴스
Milosevic's Son Is Denied Entry Into China Despite Agreement
https://www.wsj.com/[...]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019-04-12
[383]
뉴스
Dictator's son turned away from Chinese refuge
https://www.telegrap[...]
テレグラフ
2019-04-12
[384]
뉴스
Dictator's son turned away from Chinese refuge
https://www.theguard[...]
ガーディアン
2019-04-12
[385]
뉴스
暗殺された元CIA将校は中国大使館誤爆事件の責任者―米国
http://www.excite.co[...]
レコードチャイナ
2013-12-02
[386]
웹사이트
CIA reportedly authorized to develop ways to 'destabilize' Yugoslavian government
http://www.cnn.com/W[...]
1999-05-24
[387]
뉴스
ロシア、コソボ一番乗り 『既成事実化』へ実力行使
朝日新聞
1999-06-13
[388]
간행물
Sergeant William Wright - B Company 9th Engineers; Specialist Sherwood Brim - B Company 9th Engineers; Private First Class Benjamin McGill - C Company 1st Battalion 26th Infantry.
1999-07-17
[389]
뉴스
ロシア部隊、コソボ到着
朝日新聞
1999-06-12
[390]
뉴스
ロシア軍譲らず、緊迫
朝日新聞
1999-06-15
[391]
뉴스
ロシア軍もコソボ入り
西日本新聞
1999-06-12
[392]
뉴스
動けず孤立 ロシア軍
朝日新聞
1999-06-16
[393]
뉴스
ロシア軍増援 NATO阻止
朝日新聞
1999-07-04
[394]
뉴스
コソボ部隊 NATOに統一指揮権」「NATO ロシア独走に歯止め
朝日新聞
1999-06-19
[395]
웹사이트
Confrontation over Pristina airport
http://news.bbc.co.u[...]
BBC
2000-03-09
[396]
뉴스
火種はらむロシア軍増派
朝日新聞
1999-07-06
[397]
웹사이트
John Pilger reminds us of Kosovo
http://www.newstates[...]
New Statesman
2004-12-13
[398]
웹사이트
Macedonian Press Agency: News in English
http://www.hri.org/n[...]
1999-04-17
[399]
웹사이트
The Real War Crimes
http://www.worldnetd[...]
WorldNetDaily
1999-11-29
[400]
뉴스
Numbers Game in Kosovo
Washington Times
1999-10-19
[401]
웹사이트
Secretary Cohen's Press Conference at NATO Headquarters
http://www.defenseli[...]
U.S. Department of Defense
1999-04-07
[402]
웹사이트
Cohen Fears 100,000 Kosovo Men Killed by Serbs
http://www.washingto[...]
Washington Post
1999-05-16
[403]
웹사이트
Speech by President to Veterans Organizations on Kosovo
http://www.clintonfo[...]
1999-05-13
[404]
웹사이트
Press Conference by the President
http://clinton6.nara[...]
1999-06-25
[405]
웹사이트
Clinton: Serbs must be stopped now
http://www.cnn.com/U[...]
CNN
1999-03-23
[406]
뉴스
NATO Hunting for Serb Forces; U.S. Reports Signs of 'Genocide'
The New York Times
1999-03-30
[407]
뉴스
Early Count Hints at Fewer Kosovo Deaths
The New York Times
1999-11-11
[408]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Rejects Demand for Cessation of Use of Force Again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https://press.un.org[...]
United Nations
1999-03-26
[409]
웹사이트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http://www.hrw.org/r[...]
Human Rights Watch
[410]
웹사이트
Civilian Deaths in the NATO Air Campaign
http://www.hrw.org/r[...]
Human Rights Watch
[411]
웹사이트
3,000 missing in Kosovo
http://news.bbc.co.u[...]
BBC
2000-06-07
[412]
웹사이트
Serb killings 'exaggerated' by west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0-08-18
[413]
뉴스
Top UN official in Kosovo sparks storm over mass grave body count
Agence France Presse
1999-08-03
[414]
웹사이트
Killings and Refugee Flow in Kosovo
http://shr.aaas.org/[...]
2002-01-03
[415]
웹사이트
Testimony of statistical expert Patrick Ball; Milutinovic Trial Transcript
http://www.un.org/ic[...]
2007-02-20
[416]
웹사이트
Ethnic Cleansing in Kosovo: An Accounting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417]
웹사이트
Casualties in Kosovo
http://pdf.thelancet[...]
The Lancet
2000-06-24
[418]
웹사이트
Victims of the Albanian terrorism in Kosovo-Metohija (Killed, kidnapped, and missing persons, January 1998 - November 2001)
http://www.arhiva.se[...]
Government of Serbia
[419]
웹사이트
Officially confirmed/documented NATO helicopter losses
http://www.aeronauti[...]
[420]
웹사이트
Two die in Apache crash
http://news.bbc.co.u[...]
BBC
1999-05-05
[421]
웹사이트
U.S. helicopter crew killed in crash in Albania
http://www.cnn.com/U[...]
CNN
1999-05-05
[422]
웹사이트
Kosovo and the Continuing SEAD Challenge
http://www.airpower.[...]
United States Air Force
2006-06-03
[423]
웹사이트
Description of our Failing Defense Acquisition System
http://www.pogo.org/[...]
2005-03-08
[424]
웹사이트
Spinners, sinners and no winners
http://www.worldnetd[...]
WorldNetDaily
1999-07-02
[425]
잡지
The Kosovo Cover-Up
2000-05-15
[426]
웹사이트
The War Street Journal Invents Kosovo (KLA casualties)
http://antiwar.com/m[...]
[427]
웹사이트
Kosovo/Serbia: Protect Minorities from Ethnic Violence
http://hrw.org/engli[...]
Human Rights Watch
[428]
웹사이트
Kosovo UN troops 'fuel sex trade'
http://news.bbc.co.u[...]
BBC
2004-05-06
[429]
웹사이트
Kosovo: Trafficked women and girls have human rights
http://web.amnesty.o[...]
Amnesty International
[430]
웹사이트
NATO force 'feeds Kosovo sex trade'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2004-05-07
[431]
웹사이트
コソボ解放軍に臓器売買疑惑、元国際法廷検察官が本出版
https://www.afpbb.co[...]
AFP
2008-04-15
[432]
웹사이트
旧ユーゴ戦犯法廷、元自治州首相に無罪判決
http://www.afpbb.com[...]
AFP
2008-04-05
[433]
웹사이트
Final Report to the Prosecutor by the Committee Established to Review the NATO Bombing Campaign Against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http://www.un.org/ic[...]
United Nations
[434]
웹사이트
Organ smuggling in Wall Street Journal
http://online.wsj.co[...]
[435]
웹사이트
Le Figaro - Flash actu : trafic d'organes/Kosovo: ''aucune trace''
http://www.lefigaro.[...]
[436]
뉴스
コソボ紛争、裁かれる勝者/解放軍の虐待疑惑、特別法廷始動へ 裁判官すべて国外から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7-08-12
[437]
웹사이트
UN frustrated by Kosovo deadlock
http://news.bbc.co.u[...]
BBC
2006-10-09
[438]
웹사이트
Russia reportedly rejects fourth draft resolution on Kosovo status
http://www.setimes.c[...]
Southeast European Times
2007-06-29
[439]
웹사이트
UN Security Council remains divided on Kosovo
http://www.setimes.c[...]
Southeast European Times
2007-10-07
[440]
뉴스
Kosovo MPs proclaim independence, ''The BBC News''
http://news.bbc.co.u[...]
The BBC News
2008-02-17
[441]
뉴스
「コソボ 遠い民族融和/紛争終結20年/セルビアと対立 地域に溝」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9-06-17
[442]
뉴스
「コソボ紛争20年なお溝/セルビア側、式典出席せず」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6-14
[443]
웹사이트
Patriarch Pavle
http://www.telegraph[...]
Telegraph
[444]
웹사이트
Hundreds of crippled jets put RAF in crisis
http://www.aeronauti[...]
2000-01-23
[445]
웹사이트
NATO attack on Yugoslavia gave Iraq good lessons
http://www.globeandm[...]
Globe and Mail
[446]
잡지
Nine Myths About Kosovo
http://www.afa.org/m[...]
2000-06
[447]
웹사이트
Kosovo War
http://www.historyor[...]
Historyorb.com
[448]
웹인용
Yugoslav Troops Said to Cross Into Albania - Los Angeles Times
http://articles.lati[...]
Articles.latimes.com
1999-04-14
[449]
웹인용
War In The Balkans: Serbs enter Albania and burn village - News
http://www.independe[...]
The Independent
1999-04-14
[450]
웹인용
Yugoslav, NATO Generals Sign Peace Agreement for Kosovo / Alliance will end air campaign when Serbian troops pull out
http://www.sfgate.co[...]
Sfgate.com
1999-06-10
[451]
웹인용
Norske jagerfly på vingene i går
http://tux1.aftenpos[...]
2013-02-17
[452]
웹인용
The Balkans/Allied Force: Statistics
http://planken.org/b[...]
planken.org
[453]
웹인용
Turkish Air Force
http://www.hvkk.tsk.[...]
Hvkk.tsk.tr
[454]
뉴스
Albanian Telegraphic Agency: Skirmish in Qafe Prush, 2 May 1999
http://www.hri.org/n[...]
[455]
웹인용
Gjimnazi Hamëz Jashari e maturantja Hovarda Jashari më të suksesshmit në Kosovë
http://www.koha.net/[...]
Koha.net
2011-06-27
[456]
pdf
http://www.icty.org/[...]
[457]
웹인용
KLA/UCK2
http://www.grtalbani[...]
Grtalbania.5u.com
2012-02-20
[458]
웹페이지
http://encyclopedia.[...]
[459]
웹인용
Milazim Kadriu: Zahir Pajaziti është një nga themeluesit e Shtabit të Përgjithshëm të UÇK-së
http://www.zemrashqi[...]
Zemra Shqiptare
2012-02-20
[460]
웹인용
News - Haradinaj trial continues
http://www.b92.net/e[...]
B92
2012-02-20
[461]
웹페이지
http://www.bbc.co.uk[...]
[462]
웹인용
Serbia charges police officers with 1999 Kosovo murders
http://www.setimes.c[...]
SETimes.com
2006-04-28
[463]
웹인용
Press Online :: U školu išao sa nožem u rancu
http://www.pressonli[...]
Pressonline.rs
2011-02-13
[464]
웹인용
Goran Radosavljević - Who or What is Goran Radosavljević? Find out more
http://encycl.opento[...]
Encycl.opentopia.com
2012-02-20
[465]
웹페이지
http://www.globalsec[...]
[466]
웹인용
Forcat e Armatosura të Republikës së Kosovës facts - Freebase
http://www.freebase.[...]
2013-02-17
[467]
웹인용
Die Bundeswehr zieht in den Krieg
http://www.60xdeutsc[...]
2013-02-17
[468]
웹인용
Kosovo Order of Battle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2-02-20
[469]
웹인용
NATO Operation Allied Force
http://www.defense.g[...]
Defense.gov
2012-02-28
[470]
웹인용
Europe | Fighting for a foreign land
http://news.bbc.co.u[...]
BBC News
1999-05-20
[471]
웹인용
Russian volunteer's account of Kosovo
http://russiajournal[...]
The Russia Journal
1999-07-05
[472]
웹인용
Deshmoret e Kombit
http://www.deshmoret[...]
Deshmoret e Kombit
2012-02-20
[473]
웹인용
Unmanned Aerial Vehicles Increase In Numbers
http://www.radardail[...]
Radardaily.com
2012-02-28
[474]
뉴스
Two die in Apache crash
http://news.bbc.co.u[...]
[475]
웹페이지
How to Take Down an F-117
http://www.strategyp[...]
[476]
웹인용
Atlanta News, Sports, Atlanta Weather, Business News | ajc.com
http://nl.newsbank.c[...]
Nl.newsbank.com
1999-05-06
[477]
웹페이지
Holloman commander recalls being shot down in Serbia
http://www.f-16.net/[...]
[478]
웹인용
A-10 Thunderbolt II
http://www.ejection-[...]
Ejection-history.org.uk
2012-02-20
[479]
웹페이지
http://news.bbc.co.u[...]
[480]
웹인용
Operation Allied Force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12-02-28
[481]
웹인용
B92 - News - Serbia marks anniversary of NATO bombing
http://www.b92.net/e[...]
2013-02-17
[482]
웹인용
TANJUG
http://www.tanjug.rs[...]
2013-02-17
[483]
간행물
The Crisis in Kosovo
http://www.hrw.org/r[...]
Human Rights Watch
2000
[484]
간행물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 executive summary
http://www.hrw.org/r[...]
Human Rights Watch
2001
[485]
뉴스
Serbia: 13,000 killed and missing from Kosovo war - rights group
http://www.reliefweb[...]
ReliefWeb
[486]
뉴스
Death toll could be Kosovo's argument at ICJ: analysts
http://www.reliefweb[...]
ReliefWeb
[487]
뉴스
Inquiry Estimates Serb drive killed 10,000 in Kosovo
http://www.nytimes.c[...]
1999-07-18
[488]
뉴스
BBC News Confusion over refugee bombing
http://news.bbc.co.u[...]
[489]
뉴스
Civilian Deaths in Airstrikes Erode NATO Credibility
http://articles.lati[...]
Los Angeles Ti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